• Original Article

    A Simulation of a Small Mountainous Chachment in Gyeoungbuk Using the RAMMS Model

    RAMMS 모형을 이용한 경북 소규모 산지 유역의 토석류 모의

    Hyung-Joon Chang, Ho-Jin Lee, Seong-Goo Kim

    장형준, 이호진, 김성구

    In Korea, mountainous areas cover 60% of the land, leading to increased factors such as concentrated heavy rainfall and typhoons, which can …

    산지가 국토의 60%를 차지하는 우리나라는 집중호우, 태풍 등의 토석류가 발생 할 수 있는 요인들이 증가하여, 산사태, 토석류와 같은 재해의 위험성이 큼에도 불구하고 …

    + READ MORE
    In Korea, mountainous areas cover 60% of the land, leading to increased factors such as concentrated heavy rainfall and typhoons, which can result in debris flow and landslide. Despite the high risk of disasters like landslides and debris flow, there has been a tendency in most regions to focus more on post-damage recovery rather than preventing damage. Therefore, in this study, precise topographic data was constructed by conducting on-site surveys and drone measurements in areas where debris flow actually occurred, to analyze the risk zones for such events. The numerical analysis program RAMMS model was utilized to perform debris flow analysis on the areas prone to debris flow, and the actual distribution of debris flow was compared and analyzed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 As a result, the debris flow generation area calculated by the RAMMS model was found to be 18% larger than the actual area, and the travel distance was estimated to be 10% smaller. However, the simulated shape of debris flow generation and the path of movement calculated by the model closely resembled the actual data. In the future, we aim to conduct additional research, including model verification suitable for domestic conditions and the selection of areas for damage prediction through debris flow analysis in unmeasured watersheds.


    산지가 국토의 60%를 차지하는 우리나라는 집중호우, 태풍 등의 토석류가 발생 할 수 있는 요인들이 증가하여, 산사태, 토석류와 같은 재해의 위험성이 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지역에서 피해를 예방하기 보다 피해 후 복구에 편중되어왔으며, 토석류 발생지역에 대한 현장조사 및 토석류 수치해석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석류 위험구간 분석을 위해서 실제 토석류가 발생한 지역을 대상으로 현장조사 및 드론측량을 실시하여 정밀도 높은 지형 데이터를 구축하고 수치해석 프로그램 RAMMS 모형을 활용하여 토석류 발생 유역을 대상으로 토석류 흐름 분석을 수행하고 실제 발생한 토셕류 분포를 비교 분석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RAMMS 모형으로 산정된 토석류 발생면적은 실제 면적보다 18% 크게, 이동거리는 10% 작게 산정되었으나, 모형으로 계산된 토석류 발생 형상과 발생 이동경로가 실제자료와 유사하게 모의되어 모형을 통한 토석류 이동의 경향성을 파악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향후, 국내에 적합한 모형 검증 및 미계측 유역에 대한 토석류 해석을 통한 피해 예상 지역의 선정 등의 추가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 COLLAPSE
    31 March 2024
  • Original Article

    A Study on the Operation Plan of the Gangwon-do Disaster Management Resources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강원도 재난관리자원 통합관리센터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Hang-Il Jo, Sang-Beom Park, Kye-Won Jun

    조항일, 박상범, 전계원

    In Korea, as disasters become larger and more complex, there is a trend of shifting from a focus on response and recovery …

    우리나라는 재난이 대형화 ‧ 복잡화가 되면서 기존 대응과 복구 중심에서 예방과 대비로 중심으로 바뀌는 추세이다. 재난을 예방과 대비를 하기 위해 각 지자체에서는 …

    + READ MORE
    In Korea, as disasters become larger and more complex, there is a trend of shifting from a focus on response and recovery to a focus on prevention and preparedness. In order to prevent and prepare for disasters, each local government manages disaster management resources by stockpiling them. However, although disaster management resources are stored in individual warehouses, they are managed by department rather than by warehouse, resulting in insufficient management of disaster management resources due to the heavy workload of those in charge. In order to intensively manage these disaster management resources, an integrated disaster management resource management center is established and managed at the metropolitan/provincial level. In the case of Gangwon-do, the subject of this study, a warehouse is rented and operated as an integrated disaster management resource management center. When leasing an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move the location every 1 to 2 years, so it is deemed necessary to build a dedicated facility in an available site. To select a location candidate, network analysis was used to measure access to and use of facilities along interconnected routes of networks such as roads and railways. During network analysis, the Location-Allocation method, which was widely used in the past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multiple facilities, was applied. As a result, Hoengseong-gun in Gangwon-do was identified as a suitable candidate site. In addition, if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uses our country’s logistics system to stockpile disaster management resources, local governments can mobilize disaster management resources in 3 days, and it is said that it takes 3 days to return to normal life after a disaster occurs. Each city’s disaster management resource stockpile is 3 days’ worth per week, and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stores 3 times the maximum of the city’s 4-day stockpile.


    우리나라는 재난이 대형화 ‧ 복잡화가 되면서 기존 대응과 복구 중심에서 예방과 대비로 중심으로 바뀌는 추세이다. 재난을 예방과 대비를 하기 위해 각 지자체에서는 재난관리자원을 비축하는 방식으로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재난관리자원을 개별 창고에 보관하고 있으나 창고별이 아닌 부서별로 관리하여 담당자들의 과중한 업무로 인하여 재난관리자원을 관리하는데 미흡한 상황이다. 이러한 재난관리자원을 중점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광역시 ‧ 도 단위로 재난관리자원 통합관리센터를 구축하여 관리하고 있다. 본 연구대상지인 강원특별자치도의 경우 창고를 임대하여 재난관리자원 통합관리센터로 운영하고 있다. 통합관리센터를 임대하는 경우 1~2년 주기로 장소를 옮겨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사용 가능한 부지에 전용 시설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입지후보지를 선정하기 위하여 도로나 철도 등 네트워크들의 서로 연결된 경로를 따라 시설의 접근 및 이용권을 측정하는 네트워크 분석을 사용하였다. 네트워크 분석 중 과거에 다수의 시설의 입지를 결정하는데 많이 적용한 Location-Allocation 방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입지후보지로 강원도 횡성군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합관리센터에서 재난관리자원을 비축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물류시스템을 이용하면 3일이면 지자체에서 재난관리자원을 동원할 수 있으며, 재난이 발생하고 원래의 생활로 되돌아가는데 3일의 시간이 소요된다고 한다. 각 시 ‧ 군의 재난관리자원 비축량을 1주일 기준으로 3일의 비축량을 비축창고에 재난관리자원을 비축하며 통합관리센터에서는 시 ‧ 군의 4일의 비축량 중 최대값의 3배로 비축하는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 COLLAPSE
    31 March 2024
  • Original Article

    A Study for Designing a Forest Disaster Response Platform

    산림재난 대응 플랫폼 설계를 위한 기초연구

    Kye-Won Jun, Chang-Deok Jang, Bae-Dong Kang

    전계원, 장창덕, 강배동

    Recent climate change has led to an increase in the probability of forest disasters (forest fires, landslides). However, disaster systems providing information …

    최근 기후 변화로 인한 산림재난(산불, 산사태) 발생 확률이 상승하고 있으나, 산림재난 대응을 위한 정보 제공 시스템은 통합된 접근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

    + READ MORE
    Recent climate change has led to an increase in the probability of forest disasters (forest fires, landslides). However, disaster systems providing information for forest disaster response lack unified information provis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essential disaster information from a unified system for swift disaster response. To achieve this goal, we conducted a fundamental study on the necessary components for designing a forest disaster platform, explored methods for visualizing platforms enabling swift response and information provision during forest disasters through case studies, and presented the findings. Our results indicate that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forest disaster response platforms commonly utilize spatial information to provide location-specific information. Key components identified for designing a response platform for forest disasters include constructing forest disaster big data, including climate information for target areas, developing technology for integrated diagnosis of forest disasters at each stage, and designing tailored safety care services for disaster areas.


    최근 기후 변화로 인한 산림재난(산불, 산사태) 발생 확률이 상승하고 있으나, 산림재난 대응을 위한 정보 제공 시스템은 통합된 접근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속한 대응을 위해 필수적인 재난정보를 일원화된 시스템으로 제공하고자 기초적인 설계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산림재난 플랫폼 설계를 위한 필수 구성요소를 조사하고, 사례검토를 통해 신속한 대응과 정보 제공이 가능한 플랫폼 가시화 방법 및 자료구축 방법 등을 연구하고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에 국내외 산림재난 대응 플랫폼은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대상지역의 위치별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산림재난 대응 플랫폼을 설계하기 위한 구성요소로는 대상지역에 대한 기후정보를 포함한 산림재난 빅데이터 구축, 재난 단계별 산림재난 통합진단 요소 기술, 그리고 재난지역 맞춤형 안전케어 서비스 설계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 COLLAPSE
    31 March 2024
  • Original Article

    Performance Evaluation of Quality-Improved Recycled Aggregate Using Ultrasonic Wave and Chemical Neutralization Reaction

    초음파 세척 및 화학적 중화반응을 이용한 품질 개선된 순환골재의 성능 평가

    Jay Jang-Ho Kim, Young-Jun You

    김장호, 유영준

    This paper presents experimental research results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chemical neutralization reaction and ultrasonic wave to remove cement paste and …

    본 논문은 순환골재 표면에 부착된 시멘트 페이스트 및 모르타르를 제거하는 데 있어 화학적 중화반응 및 초음파 세척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적 …

    + READ MORE
    This paper presents experimental research results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chemical neutralization reaction and ultrasonic wave to remove cement paste and mortar attached to the surface of recycled aggregate. In order to derive optimal ultrasonic cleaning efficiency and chemical neutralization reac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variables such as ultrasonic frequency and type of chemical solution. As a result, the optimal frequency was found to be 24 kHz, and immersion in a 15% hydrochloric acid solution for 30 minutes of stimulation showed the highest efficiency. In addition, the specific gravity, absorption rate, and wear rate of the quality-improved recycled coarse aggregate were similar to those of general aggregate and were found to satisfy all KS F 2527 standards.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 recycled aggregate whose quality has been improved through the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used for concrete.


    본 논문은 순환골재 표면에 부착된 시멘트 페이스트 및 모르타르를 제거하는 데 있어 화학적 중화반응 및 초음파 세척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적 연구 결과를 제시한다. 최적의 초음파 세척 효율 및 화학적 중화반응을 도출하기 위하여 초음파 진동수, 화학 용액의 종류 등을 변수로 한 실험이 수행되었다. 그 결과 최적 진동수는 24 kHz로 나타났으며, 염산 15% 용액에 침지시킨 후 30분 가진하는 것이 최적 조건이라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또한, 품질 개선된 순환 굵은 골재의 비중, 흡수율, 마모율은 일반골재와 유사하며 KS F 2527 기준을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방법을 통해 품질 개선된 순환골재는 콘크리트용으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COLLAPSE
    31 March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