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riginal Article
-
A Study on the Method of Creating a Safety Vulnerable Class Distribution Diagram for Non-Structural Countermeasures in the Comprehensive Natural Disaster Reduction Plan
자연재해저감종합계획 비구조적 대책의 안전취약계층도 작성방안에 관한 연구
-
Doo Hee Kim, In Jae Song, and Byung-Sik Kim
김두희, 송인재, 김병식
- The comprehensive natural disaster reduction plan, the highest plan in the disaster prevention field, was implemented by local governments. second plan is …
방재분야의 최상위 계획인 자연재해저감종합계획은 지방자치단체별 시행하여 현재 2차계획이 수립중이며,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 하고자 9개 재해유형별 구조적 대책과 비구조적 대책을 수립하여 10년간 …
- The comprehensive natural disaster reduction plan, the highest plan in the disaster prevention field, was implemented by local governments. second plan is currently being formulated. In order to minimize human and property damage, structural and non-structural measures for each of the nine disaster types are established and implemented for 10 years. Structural measures are based on engineering and quantitative analysis, and the criteria for setting reduction measures are clear. Non-structural measures, however, currently lack the set criteria. the basic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law included the safety vulnerable class in 2018. Currently, the safety vulnerable class of the detailed establishment criteria of the comprehensive natural disaster reduction plan is being established, including children,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However, due to the lack of data securing and database construction by local governments, it is difficult to prepare a location map for establishing reduction measures for the safety vulnerable. Therefore, in this study, OPEN API data of the safety vulnerable class were collected and statistical information and GIS of SGIS information services were used. The distribution diagram of the safety vulnerable class in Samcheok, Gangwon-do, which is a sample area, and the distribution diagram of the safety vulnerable class in units of the output area (OA) in Geundeok-myeon were prepared.
- COLLAPSE
방재분야의 최상위 계획인 자연재해저감종합계획은 지방자치단체별 시행하여 현재 2차계획이 수립중이며,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 하고자 9개 재해유형별 구조적 대책과 비구조적 대책을 수립하여 10년간 시행하는 계획이다. 구조적대책은 공학적근거와 정략적 분석기법으로 저감대책의 판단기준이 명확한 반면, 비구조적 대책의 판단기준은 미비된 실정이며,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서는 2018년 안전취약계층을 포함하였고, 자연재해저감종합계획 세부수립기준의 안전취약계층은 어린이, 노인, 장애인을 포함하여 수립중이나 지자체의 자료확보 및 DB구축의 미비등 저감대책 수립을 위한 위치도 작성에 어려움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안전취약계층의 오픈API 자료를 수집하여 통계지리정보서비스의 통계정보와 GIS를 활용하여 시범지역인 강원도 삼척시의 안전취약계층의 위치도를 작성하였고, 삼척시 근덕면의 집계구 단위 위치도를 작성하였다.
-
A Study on the Method of Creating a Safety Vulnerable Class Distribution Diagram for Non-Structural Countermeasures in the Comprehensive Natural Disaster Reduction Plan
-
Original Article
-
An Analysis of the Application Effect of LID Technology in Urban Inundation Using Two-Dimensional Model
2차원 모델을 이용한 도시침수지역에서의 LID기법 적용효과 분석
-
Minjin Jung, Juho Kim, Changdeok Jang, and Kyewon Jun
정민진, 김주호, 장창덕, 전계원
- The importance of preemptive flood preparation is growing as the importance of preparing for climate change increases due to record heavy rains …
2022년 8월 수도권에 기록적인 폭우로 기후변화 대비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선제적 홍수대비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저류지나 침사지 등으로 홍수조절에 대응하고 있으나 대형화하고 …
- The importance of preemptive flood preparation is growing as the importance of preparing for climate change increases due to record heavy rain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 August 2022. Although it is responding to flood control through reservoirs and sediment sites, the government is preparing excellent spill reduction measures through a preliminary consultation system for Low Impact Development (LID). In this study, the depth of flooding was simulated when LID technologies were applied to the Sillim 2-drain region in Dorimcheon Stream basin, an urban stream, using XP-SWMM, a two-dimensional model. In addition, the analysis and applicability of the effect of reducing rainfall runoff for the largest rainfall in a day were reviewed, and it was judged to be effective as a method of reducing flooding in urban areas. Although there is a limitation in which the reduction effect is overestimated, it is thought that the LID technologies can be a significant countermeasure as a countermeasure for small-scale flooded areas where some flooding occurs after structural flooding measures are established.
- COLLAPSE
2022년 8월 수도권에 기록적인 폭우로 기후변화 대비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선제적 홍수대비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저류지나 침사지 등으로 홍수조절에 대응하고 있으나 대형화하고 있는 재난에 대비하기 위하여 정부는 저영향개발 사전협의제도 등을 통해 우수유출저감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 하천인 도림천유역의 신림2배수구역에 대해 이차원 모형인 XP-SWMM을 활용하여 Low Impact Development(LID) 기법인 투수성 포장을 적용하였을 때의 침수심을 모의하였다. 또한 기왕 일최대강우에 대한 강우유출 저감효과 분석 및 적용성을 검토하였으며, 도시지역 침수저감 방법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저감효과가 과대평가된 한계가 있으나, 구조적 침수대책이 수립된 후에 일부 침수가 발생하는 작은 규모의 침수지역에 대한 대책으로 저영향개발기법이 유의미한 대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An Analysis of the Application Effect of LID Technology in Urban Inundation Using Two-Dimensional Model
-
Original Article
-
Risk Assessment Improvement Method of Small Stream When Small Sized Hazard Infrastructures Survey
소규모 공공시설 조사시 세천의 위험도 평가 방안
-
Jungsoo Rho, Kyewon Jun, and Jaesung Shin
노정수, 전계원, 신재성
- Recently, the damage caused by natural disasters such as typhoons and localized torrential rains has been increasing rapidly. The Ministry of the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태풍, 국지성 집중호우 등 자연재해에 의한 피해가 급증하면서 행정안전부에서는 「소규모 공공시설 안전관리 등에 관한 법률(2016 개정)」을 제정하고 각 지자체별로 …
- Recently, the damage caused by natural disasters such as typhoons and localized torrential rains has been increasing rapidly.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enacted a 「law on safety management of small sized infrastructures」 and local governments have to register small sized infrastructures with the National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NDMS) until March 31st every year. Recently, each local government has ordered Safety inspections of small sized infrastructures and maintenance plans and six types of facilities, including small streams, small bridges, farm roads, access roads to village, inlet weirs, and drop structures are being surveyed and digitized into a database. Each facility is being evaluated for risk, and for those deemed hazardous, maintenance plans are being developed. However, since the risk assessment method of small sized infrastructures is not clear so that is conducted through visual investigation by field investigators, risk assessment is conducted in a subjective and ambiguous form. Therefore, this study presented a reasonable and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method by providing a quantitative evaluation indicator for small stream, which has the highest disaster risk among other small sized infrastructures, so that small sized hazard infrastructures can be selected to secure transparent evidence for improvement plans and action plans.
- COLLAPSE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태풍, 국지성 집중호우 등 자연재해에 의한 피해가 급증하면서 행정안전부에서는 「소규모 공공시설 안전관리 등에 관한 법률(2016 개정)」을 제정하고 각 지자체별로 소규모 공공시설을 조사하여 국가재난안전관리시스템(NDMS)에 등록하고 매년 3월 31일까지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최근 각 지자체별로 소규모 공공시설 안전점검 및 정비계획 수립 용역이 발주되어 세천, 소교량, 농로, 마을진입로, 취입보, 낙차공의 6가지 유형의 시설물을 조사하여 DB화 하고, 각 시설물별 위험도 평가를 수행하여 위험시설의 경우 정비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배포된 소규모 공공시설의 위험도 평가 방법은 현장조사자의 육안조사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위험도 평가가 주관적이고 모호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공공시설 중 재해위험도가 가장 높은 세천에 대하여 위험도 정량평가지표를 제시함으로써 합리적이고 정량적인 위험도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해 소규모 위험시설을 선정하여 정비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에 있어 투명한 근거자료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
Risk Assessment Improvement Method of Small Stream When Small Sized Hazard Infrastructures Survey
-
Original Article
-
A Study on the Policy Alternatives for Intelligent National Territorial Disaster Prevention in Preparation for Future Disaster
미래형 재난에 대비한 국토방재 지능화 정책대안 고찰 연구
-
Byoung Jae Lee
이병재
- The possibility of a super-large disaster is increasing due to changes in national territory, urban space and social environment, extreme weather conditions …
국토 ‧ 도시 공간 및 사회환경 변화,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 기상현황, 자연재난에 따른 국가기반시설 마비 등으로 인해 초대형 재난 발생 가능성이 증가하고 …
- The possibility of a super-large disaster is increasing due to changes in national territory, urban space and social environment, extreme weather conditions due to climate change, and paralysis of national infrastructure due to natural disasters. In this study, in order to support the systematic establishment of national territorial disaster prevention strategies for future disasters, alternatives to intelligent national territorial disaster prevention policies for future disasters were considered. Changes in the national environment related to future disasters, domestic and foreign prior studies and policy trends related to national disaster prevention, and studies related to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were investigated, and institutional and technical policy alternatives were derived. As a policy alternative, it was suggested that the creation of a self-adapting national territory for future disasters should be systematized and continuously supported through a technically intelligent decision-making support system.
- COLLAPSE
국토 ‧ 도시 공간 및 사회환경 변화,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 기상현황, 자연재난에 따른 국가기반시설 마비 등으로 인해 초대형 재난 발생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 새로운 환경변화 상에 발생하는 미래형 재난에 대한 국토방재 전략의 체계적 수립을 지원하기 위하여, 미래형 재난에 대비한 국토방재 지능화 정책대안을 고찰하였다. 미래형 재난 관련한 국토환경 변화, 국토방재 관련 국내외 선행연구 및 정책동향, 국토 재난관리 시스템 관련 연구 등을 조사하고 제도적 ‧ 기술적 정책대안을 도출하였다. 제도적으로 미래형 재난에 대한 자기적응적 국토 조성을 체계화하고, 이를 기술적으로 지능형 의사결정 지원체계를 통해 지속적으로 지원해야 함을 정책적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
A Study on the Policy Alternatives for Intelligent National Territorial Disaster Prevention in Preparation for Future Disaster
-
Original Article
-
Safety in Mass Gathering: Basic Survey for Crowd Crush
군중집회 시의 안전: 군중압박의 기초 조사
-
Soon-Joo Wang
왕순주
- After the 10.29 Itaewon disaster, interests in the crowd crush injury increased, but it is pointed out that the academic and practical …
2022년 10월 29일 발생한 이태원 참사 이후 군중압박 사고로 인한 인명피해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나 국내에서 군중압박과 관련된 학술적, 실제적 기반이 미약함이 지적되었다. …
- After the 10.29 Itaewon disaster, interests in the crowd crush injury increased, but it is pointed out that the academic and practical basis related to crowd crush is still weak in Korea. Therefore, in this study, terms and concepts related to crowd crush were investigated and proposed, and representative cases of crowd crush events were investigated and summarized. Approaches based on representative cases were investigated, and among them, video analysis, simulation, questionnaire survey and interview methods were derived as an essential approach methods. Through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standardization of Korean terminology, concept establishment, evaluation, and systematization of approach methods of crowd crush can be accomplished.
- COLLAPSE
2022년 10월 29일 발생한 이태원 참사 이후 군중압박 사고로 인한 인명피해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나 국내에서 군중압박과 관련된 학술적, 실제적 기반이 미약함이 지적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군중압박과 관련된 용어와 개념을 조사하고 가능한 한글 용어 후보들을 제안하였으며, 국내외에서 발생한 대표적인 군중압박 사고 사례를 조사하여 정리하였다. 일부 대표적 사례를 기반으로 한 선진국의 접근법들을 조사하였고, 그 중 대표적으로 영상분석, 시뮬레이션 및 설문과 인터뷰 방법을 요약 도출하였다. 이를 통하여 군중압박 사고의 한글 용어 표준화와 개념 정립, 평가 및 접근 방법의 체계화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하고 있다.
-
Safety in Mass Gathering: Basic Survey for Crowd Crush
-
Original Article
-
Damage Evaluation of Adjacent Structures for Detonation of Hydrogen Storage Facilities
수소저장시설의 폭발에 대한 인접 구조물의 손상도 평가
-
Jinwon Shin
신진원
- This study presents an analytical study of investigating the effect of shock waves generated by the hydrogen detonation and damage to structures …
본 연구에서는 수소저장시설의 폭발에 대한 시설물의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수소 폭발에 의한 발생된 충격파의 효과와 그에 따른 구조물의 손상도 평가에 대한 해석적 …
- This study presents an analytical study of investigating the effect of shock waves generated by the hydrogen detonation and damage to structures for the safety evaluation of hydrogen storage facilities against detonation. Blast scenarios were established considering the volume of the hydrogen storage facility of 10 L to 50,000 L, states of charge (SOC) of 50% and 100%, and initial pressures of 50 MPa and 100 MPa. The equivalent TNT weight for hydrgen detonation was determined considering the mechanical and chemical energies of hydrogen. A hydrogen detonation model for the converted equivalent TNT weight was made using design equations that improved the Kingery-Bulmash design chart of UFC 3-340-02. The hydrogen detonation model was validated for overpressure and impulse in comparison to the past experimental results associated with the detonation of hydrogen tank. A parametric study based on the blast scenarios was performed using the validated hydrogen detonation model, and design charts for overpressure and impulse according to the standoff distance from the center of charge was provided. Further, design charts of the three-stage structural damage and standoff distance of adjacent structures according to the level of overpressure and impact were proposed using the overpressure and impulse charts and pressure-impulse diagrams.
- COLLAPSE
본 연구에서는 수소저장시설의 폭발에 대한 시설물의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수소 폭발에 의한 발생된 충격파의 효과와 그에 따른 구조물의 손상도 평가에 대한 해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소저장시설의 폭발효과에 미치는 주요 설계변수로 수소저장시설의 부피(10~50,000 L), 잔존용량(SOC, 50% 및 100%) 및 초기 압력(50 MPa 및 100 MPa)을 고려하여 폭발 시나리오를 수립하였다. 수소폭발효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수소의 기계적 에너지와 화학적 에너지를 고려한 TNT 등가량 산정방법을 활용하였다. 환산된 TNT 등가량에 대하여 기존 UFC 3-340-02의 Kingery-Bulmash 폭발하중 설계차트를 개선한 평가식을 적용하여 수소 폭발 모델을 제안하였다. 수소 폭발 모델은 거리별 압력과 충격량에 대하여 지난 수소 탱크의 폭발실험 결과와 비교하여 검증되었다. 검증된 수소폭발 모델을 활용하여 시나리오에 따른 변수해석을 수행하였으며 폭발 중심으로부터의 이격거리에 따른 압력과 충격량에 대한 설계차트를 제시하였다. 더욱이 이 압력과 충격량 설계차트와 압력-충격량(PI) 다이어그램을 활용하여 압력과 충격량의 수준에 따른 구조물의 미세손상, 주요부재손상 및 부분 붕괴의 3단계 손상도와 이격거리에 따른 설계차트를 제안하였다.
-
Damage Evaluation of Adjacent Structures for Detonation of Hydrogen Storage Facilities
-
Original Article
-
A Study on Damage Assessment for Fuel Cell Facilities in Gas Stations
주유소 내 연료전지설비에 대한 사고피해예측 연구
-
Sung Yoon Lim, Jang Choon Lee, Jae Hoon Lee, and Seung Ho Choi
임성윤, 이장춘, 이재훈, 최승호
- Fuel cells are low-carbon power sources that can expand distributed energy system and electric vehicle charging infrastructure when installing fuel cells in …
연료전지는 저탄소 발전원으로 주유소 내 연료전지를 설치 시 분산에너지와 전기차 충전인프라를 확충할 수 있다. 주유소 내 연료전지 설치 시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
- Fuel cells are low-carbon power sources that can expand distributed energy system and electric vehicle charging infrastructure when installing fuel cells in gas stations. In order to ensure safety for fuel cells in gas stations, quantitative risk assessments were conducted after deriving accident scenarios based on accident data of domestic and foreign gas stations and fuel cells. It calculates the expected extent of damage from fire and explosion that can occur in reality, not the worst accident scenario, and analyzes the damage impact. The separation distance of more than 9.0 m from a dispenser, 15.5 m from a car under refueling, 4.1 m from the ventilation pipe, 1.1 m from the gas adjustment device prevent the severe damage caused by the expected accident. This study result can be used to deploy fuel cells in gas stations and establish safety measures.
- COLLAPSE
연료전지는 저탄소 발전원으로 주유소 내 연료전지를 설치 시 분산에너지와 전기차 충전인프라를 확충할 수 있다. 주유소 내 연료전지 설치 시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국 ‧ 내외 주유소 및 연료전지의 사고데이터를 기반으로 사고시나리오를 도출하고 사고피해예측을 위한 정량적 위험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최악의 사고시나리오가 아닌 현실적으로 발생 가능한 화재 및 폭발사고의 피해범위를 산출하고, 피해영향을 분석한 결과 주유기로부터 9.0 m, 주유 중 차량으로부터 15.5 m, 통기관으로부터 4.1 m, 연료전지의 정압기 등 가스조정장치로부터 1.1 m 이상 이격 시 사고로 인한 심각한 피해 위험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주유소 내 연료전지 배치 및 사고피해를 경감할 수 있는 안전대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A Study on Damage Assessment for Fuel Cell Facilities in Gas Stations
-
Original Article
-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Discharge Coefficients with Variations of Side Weir Angle
횡월류 위어 유입각 변화에 따른 유량계수 추정 기초 연구
-
Wan-Seop Pi, Hyung-Joon Chang, and Kye-Won Jun
피완섭, 장형준, 전계원
- Recently, due to global warming and urbanization due to the influence of abnormal weather, weather changes are increasing worldwide. Various measures have …
최근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전 지구적 온난화 및 도시화로 인해 세계적으로 기상이변이 늘어나고 있다. 도시화 및 난개발로 인한 불투수 면적의 증가 같은 문제로 …
- Recently, due to global warming and urbanization due to the influence of abnormal weather, weather changes are increasing worldwide. Various measures have been proposed to reduce flood damage as flood volume increases due to problems such as an increase in impermeable area due to urbanization and reckless development. In this study, flow characteristics and overflow volume were analyzed using FLOW-3D, a three-dimensional CFD model,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the cross-flow weir inlet angle installed in the meandering river section, and a basic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overflow capacity and calculate the flow coeffici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maller the inflow angle of the transverse overflow, the lower the water level and flow rate of the main water flow after passing the transverse overflow, and the higher the inflow angle, the higher the water level and the flow rat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direct downstream flow rate decreased compared to the upstream flow rate when the inflow angle of the transverse overflow was 40° or higher.
- COLLAPSE
최근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전 지구적 온난화 및 도시화로 인해 세계적으로 기상이변이 늘어나고 있다. 도시화 및 난개발로 인한 불투수 면적의 증가 같은 문제로 홍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홍수피해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행하천구간에 설치되는 횡월류 위어 유입각의 변화에 따라 3차원 CFD 모형인 FLOW-3D를 이용하여 흐름 특성과 월류량을 분석하여 횡월류 위어 유입각에 대한 수공구조물의 월류능력 평가 및 유량계수 산정을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횡월류 위어 유입각이 작을수록 횡월류부 통과 후 주수로 흐름의 수위가 감소하고 유속이 증가하였으며, 유입각이 증가할수록 수위가 상승하였고, 유속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횡월류 위어 유입각이 40° 이상인 경우 직하류 유속이 상류 유속과 비교하여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Discharge Coefficients with Variations of Side Weir Angle
-
Original Article
-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y on the Dynamic Fracture Processes of PMMA Block by NRC Vapor Pressure Fracture Agent
NRC 증기압 암석 파쇄제에 의한 PMMA 블록의 동적 파괴 과정에 관한 실험 및 수치해석적 연구
-
Gyeongjo Min
민경조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ynamic fracture characteristics of rocks and rock-like materials subjected to the Nonex Rock Cracker (NRC), a …
본 연구의 목적은 테르밋 반응으로 결정화된 액체혼합물을 순간적으로 기화시켜, 이에 따라 발생되는 증기압을 이용하여 암석 및 콘크리트를 파쇄시키는 Nonex Rock Cracker(NRC) 암석 …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ynamic fracture characteristics of rocks and rock-like materials subjected to the Nonex Rock Cracker (NRC), a vapor pressure crushing agent that produces vapor pressure by instantaneously vaporizing a liquid mixture crystallized through the thermite reaction. Furthermore, the study seeks to develop an analytical technique for predicting the fracture pattern. A dynamic fracture test was performed on a PMMA block, an artificial brittle material, using the NRC. High-speed cameras and dynamic pressure gauges were employed to capture the moment of vapor pressure generation and measure the vapor pressure-time history, respectively. The 2-dimensional Dynamic Fracture Process Analysis (2D DFPA) was used to simulate the fracture process caused by the vapor pressure, with the applied pressure determined based on the vapor pressure-time history. The proposed analytical method was used to examine various fracture patterns with respect to granite material and high-performance explosives.
- COLLAPSE
본 연구의 목적은 테르밋 반응으로 결정화된 액체혼합물을 순간적으로 기화시켜, 이에 따라 발생되는 증기압을 이용하여 암석 및 콘크리트를 파쇄시키는 Nonex Rock Cracker(NRC) 암석 파쇄제의 동적 파괴 특성을 분석하고 파괴패턴을 예측할 수 있는 해석기법을 개발하기 위함이다. NRC 암석 파쇄제의 순간적의 증기압 발생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인공취성재료로 알려진 Polymethyl methacrylate(PMMA) 블록을 대상으로 NRC를 장전하여 파쇄시험을 수행하였다. NRC의 증기압 발생순간을 촬영하기 위하여 초고속 카메라를 활용하였으며, 장약실과 연결된 관측공에 동적압력게이지를 부착하여 장약공 압력-시간이력을 계측하였다. 증기압 암석 파쇄제에 의한 PMMA 블록의 파괴패턴을 모사하기 위하여 2차원 동적 파괴 과정 해석 기법인 2D Dynamic Fracture Process Analysis(2D-DFPA)가 활용되었으며, 계측된 장약공 압력-시간이력을 고려한 입사압력함수를 결정하였다. 제안된 해석조건을 활용하여 화강암 재료와 고성능 폭약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는 파괴패턴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y on the Dynamic Fracture Processes of PMMA Block by NRC Vapor Pressure Fracture Agent
-
Original Article
-
Development of IoT-Based Disaster Information Providing Smart Platform for Traffic Safety of Sea-Crossing Bridges
해상교량 통행안전을 위한 IoT 기반 재난 정보 제공 스마트 플랫폼 개발
-
Sangki Park, Jaehwan Kim, and Dong-Woo Seo
박상기, 김재환, 서동우
- Jeollanam-do has 25 land-to-island and island-to-island bridges, the largest number in Korea. It is a local government rich in specialized marine and …
전라남도는 국내에서 가장 많은 25곳의 연륙·연도교가 있으며, 다도해와 이를 잇는 해상교량을 중심으로 해양 및 관광 자원이 풍부한 지자체이다. 그러나, 해상교량의 경우 강풍, …
- Jeollanam-do has 25 land-to-island and island-to-island bridges, the largest number in Korea. It is a local government rich in specialized marine and tourism resources centered on the archipelago and the sea bridges connecting them. However, in the case of sea-crossing bridges, when strong winds or typhoons occur, there is an issue that increases anxiety among users and local residents due to excessive vibration of the bridge, apart from structural safety of the bridge. In fact, in the case of Cheonsa Bridge in Shinan-gun, which was recently opened in 2019, vehicle traffic restrictions due to strong winds and excessive vibrations frequently occurred, resulting in complaints from local residents and drivers due to increased anxiety. Therefore, based on the data measured using IoT measurement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relieve local residents’ anxiety about the safety management of marine bridges by providing quantitative and accurate bridge vibration levels related to traffic and wind conditions of bridges in real time to local residents. This study uses the existing measurement system and IoT sensor to constantly observe the wind speed and vibration of the marine bridge, and transmits it to local residents and managers to relieve anxiety about the safety and traffic of the sea-crossing bridge, and strong winds and to develop technologies capable of preemptively responding to large-scale disasters.
- COLLAPSE
전라남도는 국내에서 가장 많은 25곳의 연륙·연도교가 있으며, 다도해와 이를 잇는 해상교량을 중심으로 해양 및 관광 자원이 풍부한 지자체이다. 그러나, 해상교량의 경우 강풍, 태풍 등이 발생할 경우에는 교량의 구조적 안전성과는 별개로 교량의 과대진동 등으로 인하여 사용자와 지역주민들의 불안감이 증대되는 현안이 있다. 실제로 최근 2019년에 개통한 신안군의 천사대교의 경우, 강풍과 과대진동으로 인한 차량 통행 제한이 빈번하게 발생하였고 그로인한 지역주민 및 운전자의 불안감 증대로 민원이 속출되고 있다. 따라서, IoT계측기술을 이용하여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량적이고 정확한 교량의 풍황상황과 통행과 관련된 교량의 진동수준을 실시간으로 지역주민에서 제공함으로써 해상교량의 안전관리에 대한 지역주민 불안감을 해소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계측시스템 및 IoT센서를 이용하여 해상교량의 풍속 상황과 진동을 상시적으로 관측하고 이를 지역주민 및 관리자에게 전파함으로써 해상교량의 안전 및 통행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으며, 강풍 및 대형 재난재해에 대해서도 사전대응이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
Development of IoT-Based Disaster Information Providing Smart Platform for Traffic Safety of Sea-Crossing Brid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