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nalysis of Institutional Limitations on Evacuation of Urban Railway Station Facilities and Guidelines
도시철도역 시설의 피난에 대한 제도적 한계점 분석과 가이드라인
-
Yekyeong Shin, Okkyung Yuh
신예경, 여옥경
- This study analyzes the institutional status related to ‘evacuation’ and ‘firefighting’ in underground subway stations, derives institutional limitations for ‘evacuation’ in underground …
본 연구는 도시철도 지하역의 ‘피난’ 및 ‘소방’에 관련한 제도적 현황을 분석하여 현행 도시철도 지하역에서의 ‘피난’에 대한 제도적 한계점을 도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건축공간적 …
- This study analyzes the institutional status related to ‘evacuation’ and ‘firefighting’ in underground subway stations, derives institutional limitations for ‘evacuation’ in underground subway stations, and proposes guidelines in terms of architectural space based on th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points were derived. First, since similar standards are separately enacted in individual laws and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standards and they are dualized, it is necessary to standardize and regulate the space where users stay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urban railway users, limited to urban railways. Second, in order to use trains, a special procedure called ‘ticketing’ must be considered, and regulations on evacuation safety zones and evacuation stairs between the waiting room and the platform are required. Finally, if there is a platform at a depth of more than 30m underground, it is necessary to install an evacuation floor in accordance with standards similar to the current building law.
- COLLAPSE
본 연구는 도시철도 지하역의 ‘피난’ 및 ‘소방’에 관련한 제도적 현황을 분석하여 현행 도시철도 지하역에서의 ‘피난’에 대한 제도적 한계점을 도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건축공간적 측면에서의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이 도출되었다. 첫째, 유사 기준이 개별법령에 분리 제정되어 기준 파악이 어렵고 서로 이원화되어 있기 때문에, 도시철도에 한정하여 도시철도 이용객의 이동 동선에 따라 머무는 공간을 표준화하여 규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열차 이용을 위해서는 반드시 ‘티켓팅’ 이라는 특수한 절차를 고려해야 하며 대합실과 승강장 사이에 피난안전구역, 피난계단에 대한 규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지하 30m이상 깊이의 대심도에서 승강장이 있는 경우, 현행 건축법과 유사한 기준에 따라 피난층을 설치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
Analysis of Institutional Limitations on Evacuation of Urban Railway Station Facilities and Guidelines
-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Non-destructive (Ultrasonic) Inspection Technique to Detect Defects of Anchor Bolts for Road Facilities
도로시설물 적용 앵커볼트 결함 검출을 위한 비파괴(Ultrasonic) 검사 기법 적용에 대한 연구
-
Dong-Woo Seo, Jaehwan Kim, Jin-Hyuk Lee, Han-Min Cho, Sangki Park, Min-Soo Kim
서동우, 김재환, 이진혁, 조한민, 박상기, 김민수
- The general non-destructive inspection method for anchor bolts in Korea applies visual inspection and hammering inspection, but it is difficult to check …
국내의 앵커볼트 일반 비파괴 검사법은 육안검사와 타음검사를 적용하고 있으나, 육안검사는 기초에 포함된 부분이나 너트 및 베이스플레이트가 설치된 부분에서 앵커볼트의 부식이나 피로균열 등을 …
- The general non-destructive inspection method for anchor bolts in Korea applies visual inspection and hammering inspection, but it is difficult to check corrosion or fatigue cracks of anchor bolts in the part included in the foundation or in the part where the nut and base plate are installed. In reality, objective investigation is difficult because inspection is affected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individual differences,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non-destructive inspection technology that can quantitatively estimate these defects. Inspection of the anchor bolts of domestic road facilities is carried out by visual inspection, and since the importance of anchor bolts such as bridge bearings and fall prevention facilities is high, the life span of bridges is extended through preventive maintenance by developing non-destructive testing technology along with existing inspection methods.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is technology, non-destructive testing of anchor bolts is performed and as a technology capable of preemptive/active maintenance of anchor bolts for road facilities, practical use is urgently needed. In this paper, the possibility of detecting defects in anchor bolts such as corrosion and cracks and reliability were experimentally verified by applying the ultrasonic test among non-destructive inspection techniques. When the technology development is complete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realize preemptive/active maintenance of anchor bolts by securing source technology for improving inspection reliability.
- COLLAPSE
국내의 앵커볼트 일반 비파괴 검사법은 육안검사와 타음검사를 적용하고 있으나, 육안검사는 기초에 포함된 부분이나 너트 및 베이스플레이트가 설치된 부분에서 앵커볼트의 부식이나 피로균열 등을 확인하는 것이 어렵다. 타음검사는 주변 환경과 개인차에 의한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객관적인 조사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므로 이러한 결함을 정량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비파괴 검사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국내 도로시설물 앵커볼트의 점검은 육안조사를 수행하고 있으며, 교량받침, 낙교방지시설 등의 앵커볼트 중요도가 높으므로 기존 점검방법과 함께 비파괴검사 기술을 개발하여 앵커볼트의 예방정비를 통해 교량 수명연장에 기여할 필요가 있다. 본 기술 개발을 통해 현재 수행하고 있지 않은 앵커볼트의 비파괴검사를 수행함으로 도로시설물 앵커볼트의 선제적/능동적 유지관리가 가능한 기술로 연구개발 및 실용화가 시급하다. 본 논문에서는 비파괴 검사 기법 중 초음파탐상법(Ultrasonic test)을 적용하여 부식, 균열 등 앵커볼트의 결함 검출 가능성 및 실뢰도를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기술 개발이 완성되면 검사 신뢰성 향상 원천기술 확보로 앵커볼트에 대한 선제적/능동적 유지관리의 실현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Non-destructive (Ultrasonic) Inspection Technique to Detect Defects of Anchor Bolts for Road Facilities
-
-
A Study of Improvement Direction of Inspection Diagnosis Report and Bridge Maintenance Detailed Guidelines
교량 점검진단 보고서 및 유지관리 세부지침 개선 방향 연구
-
Han-Min Cho, Ki-Tae Park, Dong Woo Seo, Kyu San Jung, Jae Hwan Kim, Jin-Hyuk Lee
조한민, 박기태, 서동우, 정규산, 김재환, 이진혁
- After the collapse of the Seongsu Bridge in 1994, the 「Special Act on the Safety Control and Maintenance of Establishments」 was enacted …
우리나라는 1994년에 발생한 성수대교 붕괴사고를 계기로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면서 시설물의 안전점검 및 유지관리 분야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 After the collapse of the Seongsu Bridge in 1994, the 「Special Act on the Safety Control and Maintenance of Establishments」 was enacted in Korea, and many efforts have been made in the field of safety inspection and maintenance of facilities. Among these facilities, a total of 33,165 bridges, which account for the largest share next to buildings, are currently in use, and 28,150 bridges of type 2 and 3 account for about 85% of the total. However, compared to the relatively more important type 1 bridges, type 2 and 3 bridges, which occupy most of the bridges, have insufficient maintenance status regarding inspection and diagnosis. This reason appears in the subjective judgment and records of the inspection performer when performing inspection and diagnosis of bridges, and in the inspection and diagnosis report form that has not been systematically establish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intend to derive an improvement (draft) of the inspection and diagnosis report that can be systematically and continuously utilized by correcting and supplementing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inspection and diagnosis report.
- COLLAPSE
우리나라는 1994년에 발생한 성수대교 붕괴사고를 계기로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면서 시설물의 안전점검 및 유지관리 분야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시설물 중 건축물 다음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교량은 현재 총 33,165개소가 공용 중이며, 2, 3종 교량의 경우 28,150개소로 전체 비중의 약 85%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교량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2, 3종 교량은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높은 1종 교량에 비해 점검진단 등에 관한 유지관리 현황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는 교량의 점검진단 수행 시 점검진단 수행자의 주관적인 판단 및 기록, 체계적으로 수립되지 못한 점검진단 보고서 양식 등에서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점검진단 보고서의 문제점을 수정 및 보완하여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활용 가능한 점검진단 보고서의 개선(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
A Study of Improvement Direction of Inspection Diagnosis Report and Bridge Maintenance Detailed Guidelines
-
-
Cable-supported Bridge Safety Inspection Blind Spot Elimination Technology using Drones
드론을 활용한 케이블지지교량 안전점검 사각지대 해소 기술
-
Sungjin Lee, Bongchul Joo, Jungho Kim
이성진, 주봉철, 김정호
- In the case of special bridges whose superstructure is supported by cables, there are many blind spots that are difficult to access …
케이블로 상부구조가 지지되는 특수교량의 경우 특수한 장비와 인력이 없이는 접근이 어려운 사각지대가 다수 존재하고 있어, 안전점검에 많은 애로사항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
- In the case of special bridges whose superstructure is supported by cables, there are many blind spots that are difficult to access without special equipment and personnel. As a result, there are difficulties in the safety inspection of special brid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inspection blind spots of cable-supported bridges such as cable-stayed bridges and suspension bridges, and to study ways to eliminate blind spots using drones. To this end, the cables, stiffened girder, and pylons of the cable-stayed bridge located in the sea were inspected using drone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external safety inspection of special bridges that are difficult for inspectors to access is possible using drones. In particular, drone inspection to check the external condition and damage of the pylon, which is a blind spot for inspection of special bridges, is a very effective safety inspection method.
- COLLAPSE
케이블로 상부구조가 지지되는 특수교량의 경우 특수한 장비와 인력이 없이는 접근이 어려운 사각지대가 다수 존재하고 있어, 안전점검에 많은 애로사항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장교와 현수교 등 케이블지지교량의 안전점검 사각지대를 검토하고, 드론을 활용하여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해상에 위치한 사장교를 드론을 활용하여 케이블과 보강형 그리고 주탑을 점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드론을 활용하여 점검자의 접근이 어려운 특수교량의 외부 안전점검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특수교량의 점검사각지대인 주탑 외부 상태 및 손상 확인을 위한 드론 점검은 매우 효과적인 안전점검 방법이다.
-
Cable-supported Bridge Safety Inspection Blind Spot Elimination Technology using Drones
-
-
Review for Assessment Methodology of Disaster Prevention Performance using Scientometric Analysis
계량정보 분석을 활용한 방재성능평가 방법에 대한 고찰
-
Dong Hyun Kim, Hyung Ju Yoo, Seung Oh Lee
김동현, 유형주, 이승오
- The rainfall characteristics such as heavy rains are changing differently from the past, and uncertainties are also greatly increasing due to climate …
기후변화로 인해 집중호우의 강우 특성은 과거와는 다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불확실성 또한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더해 도시개발, 인구집중 등의 변화는 홍수피해를 가중시키고 …
- The rainfall characteristics such as heavy rains are changing differently from the past, and uncertainties are also greatly increasing due to climate change. In addition, urban development and population concentration are aggravating flood damage. Since the causes of urban inundation are generally complex, it is very important to establish an appropriate flood prevention plan. Thus, the government in Korea is establishing standards for disaster prevention performance for each local government. Since the concept of the disaster prevention performance target was first presented in 2010, the setting standards have changed several times, but the overall technology, methodology, and procedures have been maintained. Therefore, in this study, studies and technologies related to urban disaster prevention performance were reviewed using the scientometric analysis method to review them. This analysis is a method of identifying trends in the field and deriving new knowledge and information based on data such as papers and literature. In this study, papers related to the disaster prevention performance of the Web of Science for the last 30 years from 1990 to 2021 were collected. Citespace, scientometric software, was used to identify authors, research institutes, countries, and research trends, including citat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onsideration factors such as the the concept of asset evaluation were identified when making decisions related to urban disaster prevention performance.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prevention performance standards and procedures can be upgraded if the keywords are specified and the review of each technology is conducted.
- COLLAPSE
기후변화로 인해 집중호우의 강우 특성은 과거와는 다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불확실성 또한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더해 도시개발, 인구집중 등의 변화는 홍수피해를 가중시키고 있다. 대다수의 도심지 침수 원인은 복합적이므로 해당 지역의 여건들을 고려하여 적절한 침수방어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정부는 지자체별로 방재성능목표라는 기준을 수립하고 있다. 2010년 처음 방재성능목표 개념이 제시된 이후, 몇 차례 설정 기준 등이 변화하였지만 전체적인 기술, 방법론, 절차 등은 유지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 방재성능목표 설정 및 전반적인 평가방법에 대한 고찰을 위해 계량정보분석(Scientometric Analysis) 방법을 활용하여 도시 방재성능과 관련된 연구 및 기술을 검토하였다. 계량정보분석은 논문, 문헌 등의 자료를 기반으로 해당 분야의 트렌드를 확인하고 새로운 지식 및 정보를 도출하는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1990년부터 2021까지 최근 약 30년동안 Web of Science의 관련 방재성능과 관련된 논문을 수집하였다. 계량정보 분석 소프트웨어인 Citespace를 활용하여 인용분석을 포함한 저자, 연구기관, 국가 및 연구동향 등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도시 방재성능의 기술적인 부분 외에도 자산 평가 개념 도입 등 의사결정에 필요한 고려요소들이 파악되었다. 향후 핵심키워드를 구체화하여 각 기술별 방재성능평가에 대한 고찰을 실시한다면 국내의 평가기준 및 절차를 고도화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Review for Assessment Methodology of Disaster Prevention Performance using Scientometric Analysis
-
-
An Analysis of Item Factors for Preliminary Survey of Job Satisfaction of General Disaster Manager in High-rise and Underground-linked Complex Buildings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등에서 총괄재난관리자의 직무만족도 예비조사를 위한 항목요인 분석
-
Jong Bueom Kim, Min Kyun Eun
김종범, 은민균
- Along with high-rise buildings, complex buildings used by many unspecified people, such as various buildings and underground-linked buildings, are increasing. In particular, …
고층건물과 함께 다양한 건축물과 지하연계건축물 등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복합건물들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초고층 건축물 등은 재난 시 다수의 인명피해와 많은 재산 …
- Along with high-rise buildings, complex buildings used by many unspecified people, such as various buildings and underground-linked buildings, are increasing. In particular, high-rise buildings are accompanied by a number of casualties and a lot of property damage in the event of a disaster, so reinforced integrated disaster management is necessary. The High-Rise Disaster Management Act stipulates that a general disaster manager is appointed and requires stricter safety management tasks than other building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present item factors for a preliminary survey of job satisfaction of general disaster manager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expert verification.
- COLLAPSE
고층건물과 함께 다양한 건축물과 지하연계건축물 등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복합건물들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초고층 건축물 등은 재난 시 다수의 인명피해와 많은 재산 피해를 동반하기 때문에 강화된 통합재난관리가 필요하다. 초고층재난관리법에서는 총괄재난관리자를 두도록 규정하고 다른 건축물보다 엄격한 안전관리업무를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전문가 검증을 통하여 총괄재난관리자의 직무만족도 예비조사를 위한 항목요인을 분석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An Analysis of Item Factors for Preliminary Survey of Job Satisfaction of General Disaster Manager in High-rise and Underground-linked Complex Buildings
-
-
A Study on Risk Assessment of Container Terminals and Application of Industrial Safety AI Chatbot Technology
컨테이너 터미널의 위험성평가 및 산업안전 AI 챗봇기술 적용방안 연구
-
Hwi Jin Kang, Sang Jun Han
강휘진, 한상준
- During the 10 years from 2011 to 2021, a whopping 2,800 people were killed or injured during port work. Among them, the …
2011년부터 2021년까지 10년 동안 항만 작업 중 숨지거나 다친 사람이 무려 2,800명에 달한다. 그중에서도 항만하역사업장에서 발생하는 빈도수가 높다. 컨테이너 터미널 사업자는 법령에 …
- During the 10 years from 2011 to 2021, a whopping 2,800 people were killed or injured during port work. Among them, the frequency of occurrence at the port loading and unloading business is high.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must conduct risk assessments and establish reasonable safety measures in accordance with laws and regulations. As a research method, the contents of risk assessment presented in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and the Special Act on Port Safety are present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In this study, previous studies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risk assessment method and risk factors of container terminals. The purpose is to present ‘industrial safety AI chatbot technology’ that can improve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 COLLAPSE
2011년부터 2021년까지 10년 동안 항만 작업 중 숨지거나 다친 사람이 무려 2,800명에 달한다. 그중에서도 항만하역사업장에서 발생하는 빈도수가 높다. 컨테이너 터미널 사업자는 법령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합리적인 안전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분석을 통하여 산업안전보건법, 중대재해처벌법, 항만안전특별법에서 제시하는 위험성평가에 대한 내용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컨테이너터미널의 위험성평가방법 및 유해위험요인을 살펴본다. 이러한 안전사고 위험을 개선할 수 있는 ‘산업안전 AI 챗봇기술’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
A Study on Risk Assessment of Container Terminals and Application of Industrial Safety AI Chatbot Technology
-
-
Movements Simulation of Debris Flow for Prediction of Mountain Disasters Risk Zone
산지재해 위험구간 예측을 위한 토석류 흐름 모의
-
Chae Yeon Oh, Kye Won Jun, Bae Dong Kang
오채연, 전계원, 강배동
- Recently, mountain disasters such as landslides and debris flows have flowed along mountain streams and hit residential areas and roads, increasing damage. …
최근 산사태나 토석류와 같은 산지재해가 계류를 따라 흘러와 주거지 및 도로를 덮치는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산지 재해의 피해 저감 및 …
- Recently, mountain disasters such as landslides and debris flows have flowed along mountain streams and hit residential areas and roads, increasing damage. In this study, in order to reduce damage and analyze causes of mountain disasters, field surveys and Terrestrial LiDAR terrain analysis were conducted targeting debris flow areas, and debris flow flow processes were simulated using FLO-2D and RAMM models, which are numerical models of debris flows. In addition, the debris flow deposition area was calculated and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actual occurrence section. The sedimentation area of the debris flow generation section of the LiDAR scan data wa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21,336 m2, and was analyzed to be 20,425 m2 in the FLO-2D simulation and 19,275 m2 in the case of the RAMMS model. The constructed topographical data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secure the safety of disaster risk areas.
- COLLAPSE
최근 산사태나 토석류와 같은 산지재해가 계류를 따라 흘러와 주거지 및 도로를 덮치는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산지 재해의 피해 저감 및 원인 분석을 위하여 토석류 발생지역을 대상으로 현장 조사 및 지상 LiDAR 지형 분석을 수행하고 토석류 수치 모형인 FLO-2D 와 RAMM 모형을 이용하여 토석류 유동 과정을 시뮬레이션하였다. 그리고 토석류 퇴적 면적을 산정하고 실제 발생 구간과 비교 분석하였다. 지상 LiDAR 스캔 자료의 토석류 발생 구간 퇴적 면적은 대략 21,336 m2로 산정되었으며 FLO-2D 모의 결과 20,425 m2, RAMMS 모형의 경우 19,275 m2로 분석되었다. 두 모형 모두 실제 발생 구간과 유사한 형태를 보였다. 구축된 지형자료는 재해 발생 위험지역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
Movements Simulation of Debris Flow for Prediction of Mountain Disasters Risk Zone
-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Management System of Rockfall Risk Area Using the Rockfall Analysis Program
낙석 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낙석위험지역 관리체계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
Bae Dong Kang, Jae Chae Jeong, Chang Deok Jang, Kye Won Jun
강배동, 정재채, 장창덕, 전계원
- The National Park Service is making efforts to create a safe environment by installing rockfall prevention facilities (rockfall prevention nets, fences, and …
국립공원공단에서는 낙석위험지역에 낙석방지시설(낙석방지망, 낙석방지울타리, 피암터널 등)을 설치하거나 우회탐방로를 개설하는 등 안전 환경 조성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호우나 겨울철 …
- The National Park Service is making efforts to create a safe environment by installing rockfall prevention facilities (rockfall prevention nets, fences, and Piam tunnels) in areas at risk of falling rocks. However, the occurrence of falling rocks is increasing every year due to torrential rains caused by climate change, abnormal temperatures in winter, and aging of the ground, and the need to improve the existing rock risk area management plan has emerged. In this study, a pilot area at risk of falling rocks was selected for the Hwanggol district of Chiaksan National Park among Korean national parks, and rockfal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Rockfall program, and monitoring was conducted by applying a countermeasure method combined with the measurement system to the pilot area. Through this, a rockfall management plan was proposed for continuous management and monitoring of rockfall.
- COLLAPSE
국립공원공단에서는 낙석위험지역에 낙석방지시설(낙석방지망, 낙석방지울타리, 피암터널 등)을 설치하거나 우회탐방로를 개설하는 등 안전 환경 조성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호우나 겨울철 이상 고온, 지반의 노령화로 인한 풍화와 절리현상으로 매년 낙석 발생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기존 낙석위험지역 관리방안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국립공원 중 치악산 국립공원 황골지구를 대상으로 하여 낙석 발생의 위험이 있는 시범지역을 선정한 후 Rockfall 프로그램을 이용한 낙석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분석 결과에 따라 시범지역에 계측시스템과 결합한 대책공법을 적용하여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낙석의 지속적 관리와 모니터링을 위한 낙석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Management System of Rockfall Risk Area Using the Rockfall Analysis Program
-
-
An Improvement Study on the Hydrological Quantitative Precipitation Forecast (HQPF) for Rainfall Impact Forecasting
호우 영향예보를 위한 수문학적 정량강우예측(HQPF) 개선 연구
-
Yoon Hu Shin, Sung Min Kim, Yong Keun Jee, Young-Mi Lee, Byung-Sik Kim
신윤후, 김성민, 지용근, 이영미, 김병식
- In recent years, frequent localized heavy rainfalls, which have a lot of rainfall in a short period of time, have been increasingly …
최근 짧은 시간 동안 많은 강우가 내리는 국지성 집중호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이로 인한 침수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
- In recent years, frequent localized heavy rainfalls, which have a lot of rainfall in a short period of time, have been increasingly causing flooding damages. To prevent damage caused by localized heavy rainfalls, Hydrological Quantitative Precipitation Forecast (HQPF) was developed using the Local ENsemble prediction System (LENS) provid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and Machine Learning and Probability Matching (PM) techniques using Digital forecast data. HQPF is produced as information on the impact of heavy rainfall to prepare for flooding damage caused by localized heavy rainfalls, but there is a tendency to overestimate the low rainfall intensity. In this study, we improved HQPF by expanding the period of machine learning data, analyzing ensemble techniques, and changing the process of Probability Matching (PM) techniques to improve predictive accuracy and over-predictive propensity of HQPF. In order to evaluate the predictive performance of the improved HQPF, we performed the predictive performance verification on heavy rainfall cases caused by the Changma front from August 27, 2021 to September 3, 2021. We found that the improved HQPF showed a significantly improved prediction accuracy for rainfall below 10 mm, as well as the over-prediction tendency, such as predicting the likelihood of occurrence and rainfall area similar to observation.
- COLLAPSE
최근 짧은 시간 동안 많은 강우가 내리는 국지성 집중호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이로 인한 침수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기상청이 제공하는 지역 앙상블 예측시스템(Local ENsemble prediction System, LENS)과 관측자료와 동네예보 자료를 활용한 기계학습과 확률 매칭(Probability Matching, PM) 기법을 이용하여 수문학적 정량강우예측정보(Hydrological Quantative Precipitation Forecast, HQPF)을 개발하였다.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피해 대비를 위한 호우 영향정보로 HQPF를 생산하고 있지만, 낮은 강우강도에 대하여 과대예측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HQPF의 예측정확도 향상과 과대예측 성향을 개선하기 위하여 머신러닝 학습자료 기간확대, 앙상블 기법 분석 및 확률매칭(PM) 기법 프로세스 변경을 통하여 HQPF 개선하였다. 개선된 HQPF의 예측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2021년 8월 27일 ~ 2021년 9월 3일 장마전선으로 인한 호우 사례를 대상으로 예측성능 검증을 수행하였다. 10 mm 이하의 강우에 대하여 예측정확도가 크게 향상되었고, 관측과 유사한 발생가능성 및 강우영역을 예측하는 등 과대예측 성향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An Improvement Study on the Hydrological Quantitative Precipitation Forecast (HQPF) for Rainfall Impact Forecas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