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riginal Article
-
A Study on Evaluation Parameters of Safety City Models
안전도시 모델의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
Joon-Hak Lee and Okkyung Yuh
이준학, 여옥경
- As interest in urban safety has increased since COVID-19, various institutions have developed and used indicators that evaluate the safety city model. …
코로나 19 이후 도시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여러 기관에서 도시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지표가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용산구는 2021년 사회안전지수 평가에서 1위로 …
- As interest in urban safety has increased since COVID-19, various institutions have developed and used indicators that evaluate the safety city model. Yongsan-gu was ranked No. 1 in 2021 by Social Safety Index evaluation and was selected as the safest city in Korea. However, the Itaewon disaster in Yongsan-gu in 2022 caused many casualties. The study of indicators for evaluating cities’ safety was necessary. This study aims to examine domestic and foreign safe city models and review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model and the indicators used to evaluate safe cities. As a result of collecting 11 safe city models and analyzing each evaluation index, safe city models can be classified into program-based safe city models, such as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s International safe community and the UN Office for Disaster Risk Reduction’s International Safe city. Considering the diversification of threats to safety, it is reasonable to comprehensively consider digital security, health safety, infrastructure safety, personal safety, environmental safety, traffic safety, fire safety, crime safety, life safety, suicide, and infectious diseases when evaluating safe cities as evaluation parameters.
- COLLAPSE
코로나 19 이후 도시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여러 기관에서 도시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지표가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용산구는 2021년 사회안전지수 평가에서 1위로 선정되어 한국에서 가장 안전한 도시로 선정되었으나, 2022년 이태원 참사로 인해,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것은 도시의 안전을 평가하는 지표가 담지 못하는 영역이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 외 안전도시 모델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각 모델의 차이점과 안전도시를 평가할 때 사용되는 지표를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11개 안전도시 모델을 수집하고 각 평가지표를 분석한 결과, 안전도시 모델은 세계보건기구의 국제안전도시와 유엔재해경감기구의 국제안전도시와 같이 기관에서 인증을 하는 “프로그램 기반의 안전도시 모델”과, 기관별 안전 관련 평가지표의 점수에 의해서 안전도시 순위 및 등급이 결정되는 “점수기반의 안전도시 모델”로 분류할 수 있으며, 안전한 도시가 되기 위해서는 이 두 가지 모델이 상호 보완적으로 활용될 때 도시 안전을 위협하는 제반 요소를 전방위적으로 대응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안전에 대한 위협이 다양해짐을 고려해볼 때 안전도시를 평가할 때 디지털 보안, 보건 안전, 인프라 안전, 개인 안전, 환경 안전, 교통 안전, 화재 안전, 범죄 안전, 생활안전, 자살, 감염병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타당하는 결론을 얻었다.
-
A Study on Evaluation Parameters of Safety City Models
-
Original Article
-
Application and Comparative Analysis of River Discharge Estimation Methods Using Surface Velocity
표면유속을 이용한 하천 유량산정방법의 적용 및 비교 분석
-
Jae Hyun Song, Seok Geun Park, Chi Young Kim, and Hung Soo Kim
송재현, 박석근, 김치영, 김형수
- There are some difficulties such as safety problem and need of manpower in measuring discharge by submerging the instruments because of many …
홍수 유량측정은 직접 하천에 접촉하는 방식의 경우 측정인력의 안전 문제와 다수의 인력이 필요한 점 등 어려운 점이 많다. 최근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
- There are some difficulties such as safety problem and need of manpower in measuring discharge by submerging the instruments because of many floating debris and very fast flow in the river during the flood season. As an alternative, microwave water surface current meters have been increasingly used these days, which are easy to measure the discharge in the field without contacting the water surface directly. But it is also hard to apply the method in the sudden and rapidly changing field conditions. Therefore, the estimation of the discharge using the surface velocity in flood conditions requires a theoretical and economical approach. In this study, the measurements from microwave water surface current meter and rating curve were collected and then analyzed by the discharge estimation method using the surface velocity. Generally, the measured and converted discharge are analyzed to be similar in all methods at a hydraulic radius of 3 m or over or a mean velocity of 2 ㎧ or more. Besides, the study computed the discharge by the index velocity method and the velocity profile method with the maximum surface velocity in the section where the maximum velocity occurs at the high water level range of the rating curve among the target locations. As a result, the mean relative error with the converted discharge was within 10%. That is, in flood season, the discharge estimation method using one maximum surface velocity measurement, index velocity method, and velocity profile method can be applied to develop high-level extrapolation,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reliability for the range of extrapolation estimation could be improved. Therefore, the discharge estimation method using the surface velocity is expected to become a fast and efficient discharge measurement method during the flood season.
- COLLAPSE
홍수 유량측정은 직접 하천에 접촉하는 방식의 경우 측정인력의 안전 문제와 다수의 인력이 필요한 점 등 어려운 점이 많다. 최근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현장에서 측정이 간편하고, 수면에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방식의 전자파표면유속계 활용이 증가하고 있으나 돌발적이고 급변하는 현장 여건의 적용에 있어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홍수 상황에서 표면유속을 이용한 유량산정방법은 이론적이고, 경제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파표면유속계 측정자료와 수위-유량관계곡선식 자료를 수집하여 표면유속을 이용한 지표유속법과 유속분포법을 적용 및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동수반경 3 m 이상 또는 평균유속 2 ㎧ 이상에서는 모든 방법이 측정유량 및 환산유량과 유사한 결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대상지점 중 수위-유량관계곡선식 고수위 범위에서 최대유속 발생 위치 구간의 최대 표면유속을 이용하여 지표유속법과 유속분포법으로 유량을 산정하였고, 환산유량과의 평균 상대오차가 모두 10% 이내로 비교적 일치하였다. 홍수시 한 개의 최대 표면유속 측정과 지표유속법 및 유속분포법을 이용한 유량산정방법은 고수위 외삽 개발에 적용할 경우 외삽추정 구간에 대한 신뢰도를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표면유속을 이용한 유량산정방법은 신속하고 효율적인 홍수 유량측정 방안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Application and Comparative Analysis of River Discharge Estimation Methods Using Surface Velocity
-
Original Article
-
Improvement of the Risk Evaluation Methods for Small Bridges When Investigating the Small Public Facilities
소규모 공공시설 조사 시 소교량의 위험성 평가 방법 개선
-
Jaesung Shin, Kyewon Jun, and Jungsoo Rho
신재성, 전계원, 노정수
- Under the “Act on Safety Control of Small Public Facilities (enacted in 2015)”, each local government selects and conducts annual safety inspections …
「소규모 공공시설 안전관리 등에 관한 법률(2015 제정)」에 따라 각 지자체에서는 소규모 공공시설을 선정하고, 매년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소규모 공공시설 중 소교량은 세천과 …
- Under the “Act on Safety Control of Small Public Facilities (enacted in 2015)”, each local government selects and conducts annual safety inspections for small public facilities. Among small public facilities, small bridges pose high risks and are heavily utilized by local residents, making them challenging to manage due to their large numbers and limited resource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rational selection method that considers the management capacity of local governments, as well as the establishment of objective risk evaluation and maintenance planning for small hazardous facilities. In this study, we propose a selection method based on structural and functional classification of small bridges, considering the management capacity of local governments. Additionally, we present quantitative evaluation indicators for ten risk evaluation criteria, aiming to facilitate objective risk evaluation.
- COLLAPSE
「소규모 공공시설 안전관리 등에 관한 법률(2015 제정)」에 따라 각 지자체에서는 소규모 공공시설을 선정하고, 매년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소규모 공공시설 중 소교량은 세천과 더불어 재해위험성이 높고 마을주민의 공공이용성이 높은 시설이나, 그 개소수가 매우 많아 지자체의 한정된 인원으로 관리하기 어려운 시설에 해당한다. 따라서 지자체의 관리능력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선정방법이 필요하며, 객관적 위험도 평가를 통한 위험시설의 선정 및 정비계획의 수립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의 관리능력을 고려하여 소교량의 구조적, 기능적 분류를 통한 선정방법을 제시하고, 위험도 평가 10개 항목의 정량적 평가지표를 제시함으로써 객관적인 위험도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Improvement of the Risk Evaluation Methods for Small Bridges When Investigating the Small Public Facilities
-
Original Article
-
A Study on Estimation of Road Vulnerability Criteria for Vehicle Overturning Hazard Impact Assessment
차량 전도 위험 영향 평가를 위한 도로 취약성 기준 산정에 관한 연구
-
Kyung-Su Choo, Dong-Ho Kang, Byung-Sik Kim, and In-Jae Song
추경수, 강동호, 김병식, 송인재
- Impact based forecast refers to providing information on potential socioeconomic risks according to weather conditions, away from the existing weather factor-oriented forecast. …
영향예보는 기존의 기상요소 중심의 예보에서 벗어나 기상상황에 따른 잠재적 사회경제적 위험도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상 선진국들은 영향정보 제공 및 확산을 …
- Impact based forecast refers to providing information on potential socioeconomic risks according to weather conditions, away from the existing weather factor-oriented forecast. Developed weather countries are investing manpower and finances in technology development to provide and spread impact information, but awareness of impact based forecasts has not spread in Korea. In addition, the focus is on disasters such as floods and typhoons, which cause a lot of damage to impact based forecasts, and research on evaluating the impact of vehicle risks due to strong winds in the transportation sector with relatively low damage is insufficient. In Korea, there are not many cases of damage to vehicle conduction caused by strong winds, but there are cases of damage and the need for research is increasing. Road vulnerability is required to evaluate the risk of vehicles caused by strong wind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alculate the criteria for road vulnerability. The road vulnerability evaluation was evaluated by the altitude of the road, the number of lanes, the type of roa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vulnerable area was well reproduced. It is judg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criterion for preparing an objective evaluation of potential risks for vehicle drivers.
- COLLAPSE
영향예보는 기존의 기상요소 중심의 예보에서 벗어나 기상상황에 따른 잠재적 사회경제적 위험도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상 선진국들은 영향정보 제공 및 확산을 위한 기술개발에 인력과 재정을 투입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영향예보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어 있지 않다. 또한 영향예보 피해가 많이 발생하는 홍수, 태풍 등의 재난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상대적으로 피해발생이 적은 교통 분야의 강풍으로 인한 차량 위험 영향 평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국내에서는 강풍으로 인한 차량 전도에 대한 피해 사례는 많이 없지만 과거 피해 사례가 존재하며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강풍으로 인한 차량의 위험(Risk) 평가를 위해서는 도로의 취약성(Vulnerability)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도로의 취약성 기준을 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도로의 취약성 평가는 도로의 고도, 차선 수, 도로 유형으로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사고사례가 있던 지역의 취약성 지역을 잘 재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성과를 이용하여 차량 운전자에게 잠재적 위험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 마련에 대한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A Study on Estimation of Road Vulnerability Criteria for Vehicle Overturning Hazard Impact Assessment
-
Original Article
-
The Study for Reduction Effect of Riverbed Scour due to Shape of Vanes
베인 형태에 따른 하상세굴 저감 효과에 관한 연구
-
Hae Min Noh, Ho Jin Lee, and Sung Duk Kim
노해민, 이호진, 김성덕
- Recently, Heavy rains and super typhoons occurred by climate change cause a lot of damage in Korea. In order to reduce such …
기후변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집중호우와 슈퍼태풍은 우리나라에서 많은 피해를 야기한다. 이러한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서 다양한 형태의 하천정비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나, 홍수기와 갈수기가 뚜렷한 우리나라에서는 …
- Recently, Heavy rains and super typhoons occurred by climate change cause a lot of damage in Korea. In order to reduce such damage, various types of river maintenance projects are being promoted, bu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balance of rivers in Korea with distinct flood and dry seasons. In particular, river structures installed as a river maintenance project cause various problems such as scouring of structures and their foundations during floods and river bed changes. In order to reduce such bed scour, various vanes are installed in the bend of the river, and various bed scour reduction effects appear depending on the size, arrangement, and shape of the vanes. The vane regenerates the secondary flow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econdary flow generated by the centrifugal force, thereby reducing scour around the outer bed and promoting deposition. The theory of this study uses the governing equation applying the continuity equation that satisfies the law of conservation of mass and the momentum equation that satisfies the conservation of momentum, and measures the overall average flow velocity change rate according to design factor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anes under various conditions. Both the average and cross-sectional flow velocities decreased in both the trapezoidal vane and the square vane. In addition, vanes installed perpendicularly or inclined to the direction of river flow generate a secondary flow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econdary flow generated by centrifugal force, thereby canceling the secondary flow of centrifugal force, so the effect of the vane appears.
- COLLAPSE
기후변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집중호우와 슈퍼태풍은 우리나라에서 많은 피해를 야기한다. 이러한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서 다양한 형태의 하천정비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나, 홍수기와 갈수기가 뚜렷한 우리나라에서는 하천 균형을 유지하기가 어렵다. 특히, 하천정비사업으로 설치된 하천구조물은 홍수기에 구조물 및 그 기초의 세굴이 발생되고 하상 변화 등 다양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하상세굴을 저감하기 위하여 하천의 만곡부에 다양한 베인이 많이 설치되며, 베인의 배치와 크기, 모양에 따라서 다양한 하상세굴 저감효과가 나타난다. 베인은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2차 흐름과 반대 방향으로 2차 흐름을 다시 생성함으로써 외측 하상 주변의 세굴이 감소하고 퇴적이 촉진된다. 본 연구의 이론은 질량보존법칙을 만족하는 연속방정식과 운동량 보존을 만족하는 운동량방정식을 적용한 지배방정식을 이용하고, 다양한 조건 하에서 베인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설계 요인에 따라 전체 평균 유속 변화율을 측정한다. 사다리꼴 베인과 사각형 베인 모두에서 평균유속과 횡단면 유속이 모두 감소하였고, 이는 베인 설치로 인해서 원심력을 갖고 유하하는 하천유속이 방해를 받아 유속이 저감되기 때문이다. 또한, 하천흐름 방향에 수직으로 또는 경사적으로 설치된 베인은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2차흐름의 역방향으로 2차흐름을 발생시켜 원심력 2차흐름의 상쇄를 나타내기 때문에 베인의 효과가 나타난다.
-
The Study for Reduction Effect of Riverbed Scour due to Shape of Vanes
-
Original Article
-
Study on Fish-friendly Flow Characteristic in Stepped Fishway
계단식 어도에서의 어류 친화적 흐름 특성 연구
-
Chanjin Jeong, Dong Hyun Kim, Hyung Suk Kim, and Seung Oh Lee
정찬진, 김동현, 김형석, 이승오
- Fishways are essential structures that must be installed in rivers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fish between upstream and downstream areas. However, …
하천에서는 어류의 상 ‧ 하류 간의 이동을 위해 어도는 필수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시설이다. 그러나 어도 내부의 흐름에 따라 이동효율의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
- Fishways are essential structures that must be installed in rivers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fish between upstream and downstream areas. However, the efficiency of fish passage varies depending on the flow conditions within the fishway.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fish-friendly flow characteristics within a stepped fishway at different overflow depths using FLOW-3D, and conducted experiments for model validation. The key parameters affecting fish swimming ability include velocity, turbulent kinetic energy, and energy dissipation rate. These factors were assessed using a simulated fish species, the zacco platypus, to evaluate the suitability of fish-friendly flow condition. It was confirmed that overflow depth significantly influences fish behavior, and an appropriate overflow depth is required for stepped fishway desig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fundamental data for the design of stepped fishways in the future.
- COLLAPSE
하천에서는 어류의 상 ‧ 하류 간의 이동을 위해 어도는 필수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시설이다. 그러나 어도 내부의 흐름에 따라 이동효율의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FLOW-3D를 통해 월류수심에 따른 계단식 어도 내의 어류 친화적 흐름을 검토하였고,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개수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어류의 유영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항목으로는 유속, 난류운동에너지, 에너지소산율 등이 있으며, 이와 같은 항목으로 대상 어류를 피라미로 가정하여 어류 친화적 흐름의 적합성을 판단하였다. 월류수심은 피라미에게 유효한 영향을 끼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어도의 낙차에 따라 적합한 월류수심이 요구된다. 향후, 본 연구결과는 계단식 어도 설계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Study on Fish-friendly Flow Characteristic in Stepped Fishway
-
Original Article
-
A Numerical Study on Structural Safety Evaluation of Railway Bridges Deformed due to External Impact Loads
외부 충돌하중으로 변형된 철도 교량의 구조적 안전성 평가에 관한 수치 해석적 연구
-
Dong-Woo Seo, Kyu-San Jung, Sangki Park, and Jung-Hyun Kim
서동우, 정규산, 박상기, 김정현
- In general, bridges are facilities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easily passing through sections such as valleys and rivers. Railway bridges that …
일반적으로 교량은 계곡, 하천 등의 구간을 쉽게 통과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시설물이다. 도심지를 통과하여 운행되는 철도교량 등은 지진, 통행차량의 충돌 등의 외부적인 …
- In general, bridges are facilities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easily passing through sections such as valleys and rivers. Railway bridges that run through downtown areas are damaged due to external factors such as earthquakes and collisions with passing vehicles, resulting in serious human casualties. This can cause serious human and properties damage, such as functional paralysis in downtown areas. Depending on the degree of damage, repair work such as partial repair or full replacement is in progress for the bridge where the collision occurred. When damage or deformation occurs due to collision, the repair metho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formation and the degree to which the load capacity of the bridge is affected by the deformation. In this study, a numerical analysis review was performed on the repair work for the local deformation caused by the collision of a vehicle on an old railway bridge installed and in operation in an urban area. To this end, a structural safety review of the bridge for local deformations caused by vehicle collisions was conducted. In this paper, a repair method for the accident bridge was present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 COLLAPSE
일반적으로 교량은 계곡, 하천 등의 구간을 쉽게 통과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시설물이다. 도심지를 통과하여 운행되는 철도교량 등은 지진, 통행차량의 충돌 등의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손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한 심각한 인명피해와 주변 시설물의 피해 그리고 운행중단으로 인한 도심지의 기능 마비 등 심각한 인적 물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충돌이 발생한 교량에 대해서는 손상 정도에 따라 부분 보수 혹은 전면 교체 등의 보수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충돌로 인한 손상 혹은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변형의 정도, 변형으로 인한 교량의 내하력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 등에 따라 보수 방법을 결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 내에서 설치되어 운행 중인 노후 철도 교량에 대해 차량의 충돌로 인해 발생한 국부 변형에 대한 보수작업에 대한 수치 해석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차량 충돌로 인하여 발생한 국부 변형에 대한 교량의 구조적 안전성 검토를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고 교량의 보수 방법을 제시하였다.
-
A Numerical Study on Structural Safety Evaluation of Railway Bridges Deformed due to External Impact Loads
-
Original Article
-
The Effect of Road Networks on Urban Resilience in Flooding
도시침수 시 도로네트워크가 도시회복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Hyung Jun Park, Dong Hyun Kim, Hyun Jung Lee, and Seung Oh Lee
박형준, 김동현, 이현중, 이승오
- Flood is one of the most frequent natural disasters worldwide. In Korea, the probability of urban flooding is greatly increasing due to …
홍수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빈번한 자연재해 중 하나로, 국내의 경우 지구온난화의 진행, 불투수면적의 증가, 기존 시가지 내 치수시설 확충의 한계 등 복합적인 …
- Flood is one of the most frequent natural disasters worldwide. In Korea, the probability of urban flooding is greatly increasing due to complex factors such as global warming, an increase in impervious areas, and limitations in expanding water supply facilities in existing urban areas. However, large-scale civil engineering works to prevent urban inundation are socially and economically difficult to obtain national consent. Recently the importance of resilience, which is the ability to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after a disaster through rapid recovery while preparing for natural disasters to a level that the local community can afford socially and economically, is increasing. Accordingly, various studies on urban resilience have been conducted, but the resilience measurement method related to the lifeline that provides essential services of the city is insufficient. However, among lifelines, road networks are important facilities for the transportation of recovery resources and rapid recovery in the event of a natural disaster, so road networks are a major factor that must be considered when measuring the degree of recovery of a city in the field of natural disaster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recovery evaluation metho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resilience and road networks in the urban flooding field and analyzes the effect of road networks on urban resilience.
- COLLAPSE
홍수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빈번한 자연재해 중 하나로, 국내의 경우 지구온난화의 진행, 불투수면적의 증가, 기존 시가지 내 치수시설 확충의 한계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도시침수 발생 확률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도시침수 방지를 위한 설계홍수량의 상향 및 대규모 토목공사는 사회 ‧ 경제적으로 전 국민적인 동의를 받기 어렵다. 따라서 자연재해에 대해 지역공동체가 사회 ‧ 경제적으로 감당 가능한 수준으로 대비를 하되, 신속한 복구를 통해 재해 이후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능력인 회복도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도시회복도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어지고 있지만 도시의 필수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라이프라인과 연관된 회복도 측정법은 미비한 상황이다. 특히 라이프라인 중 도로네트워크는 자연재해 발생 시 복구자원 수송과 신속한 복구를 진행하기 위한 중요한 시설인 만큼 도로네트워크는 도시의 회복도를 측정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하는 주요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회복도 특성 및 도로네트워크 기반의 회복도 평가법을 제시하고 도로네트워크가 도시회복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
The Effect of Road Networks on Urban Resilience in Flooding
-
Original Article
-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the Design Flood for Small Catchment in Sobaek
소백산 소하천 유역의 홍수량 산정에 대한 고찰
-
Hyung Joon Chang, Seong Goo Kim, Ki Soon Park, and Young Ho Yoon
장형준, 김성구, 박기순, 윤영호
- In recent years, the occurrence of abnormal weather has increased rapidly, increasing the frequency of torrential rain. As a result, stable water …
최근 들어 이상기후 발생이 급증하여 집중호우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안정적인 수자원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며, 인적 ‧ 물적 피해가 과거에 비해 …
- In recent years, the occurrence of abnormal weather has increased rapidly, increasing the frequency of torrential rain. As a result, stable water resource management is difficult, and human and material damage is increasing. Various measures are being established to reduce damage caused by torrential rains, but small-scale mountain catchments are relatively difficult to manage due to lack of basic plan. In this study, the risk of flooding was evaluated using the rainfall-flow model in the Yeonhwa-dong catchment national park among national parks in Korea. The Yeonhwa-dong catchment of Mt. Sobaeksan was simulated to cause flooding when rainfall of more than 50 years occurr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high risk of water resource structures, safety facilities, and trails.
- COLLAPSE
최근 들어 이상기후 발생이 급증하여 집중호우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안정적인 수자원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며, 인적 ‧ 물적 피해가 과거에 비해 늘어나고 있다.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저감을 위해 여러 대책을 마련하고 있으나 소규모 산지유역의 경우 상대적으로 기본계획 수립부재 등으로 인하여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안전한 국립공원의 관리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소백산 국립공원 내 연화동 유역을 대상으로 강우-유출모형을 활용해 유출량을 산정하였다. 소백산 연화동 유역은 재현빈도 50년 이상의 강우가 발생했을 때의 홍수위와 과거 발생한 홍수흔적수위를 비교했을 때 모형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the Design Flood for Small Catchment in Sobae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