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31 December 2022. 47-56
https://doi.org/10.21729/ksds.2022.15.4.47

ABSTRACT


MAIN

  • 1. 서 론

  • 2. 본 론

  •   2.1 초고층 건축물의 의미

  •   2.2 우리나라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현황

  •   2.3 총괄재난관리자의 직무

  •   2.4 총괄재난관리자 자격별 선임현황

  •   2.5 직무만족도의 이론적 고찰

  • 3. 직무만족도 문항요인 분석

  •   3.1 분석개요

  •   3.2 총괄재난관리자의 직무만족도 설문지 구성

  •   3.3 신뢰도 분석

  • 4. 결 론

  •   4.1 결과요약

  •   4.2 제언

1. 서 론

1.1 연구의 배경

현대사회는 건축물의 고층화, 다양화, 지하화로 인한 복잡한 건축물 구조로 건설되고 있다. 다시 말하면, 불특정 다수인들이 이용하는 초고층 건축물 등은 하루가 다르게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초고층 건축물 등은 재난예방 및 피해경감 개선을 위해서 초기대응대 구성 및 교육훈련 등을 통해 통합적인 재난예방 대책과 대응능력을 강화(Yun, 2017)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통합적인 재난관리는 화재 등 다양한 유형별 재난발생 시 인적 및 물적 피해의 대규모 재난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은 그 주변 지역에 대한 재난관리의 효율성을 함께 도모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초고층 건축물 등은 다른 건축물보다 엄격한 종합적인 재난관리체계 구축 및 대응체계 강화방안으로 총괄재난관리자를 선임하고 관리하도록 2011.03.08.일자로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재난관리에 관한 특별법」(약칭 : 초고층재난관리법)이 제정되었으며, 법 시행은 1년간의 경과규정을 두어 2012.03.09.일자로 전면적으로 시행하게 되었다(The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Korea, 2009).1) 본 연구자는 소방공무원으로 근무하면서 소방안전관리자의 지도․감독을 담당하면서, 소방안전관리자들의 근무여건에 따른 직무만족이 높지 않는 것이 우리사회에 안전관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알고 있다. 하지만, 각종 산업안전, 전기안전 등 안전관리자들의 직무만족을 위한 조사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진 반면, 초고층 건축물등에서 통합재난업무의 중요한 직무를 수행하는 총괄재난관리자의 직무만족․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의 통합적인 재난예방과 경감업무를 하는 최고책임자인 총괄재난관리자의 직무만족향상을 위하여 직무만족도 조사를 위한 항목요인을 분석하여 설문항목을 제시하여, 총괄재난관리자의 직무만족도 조사를 위한 설문지 항목을 연구하는데 기초가 되고자 한다.

1.2 연구방법 및 범위

본 연구의 항목요인 분석은 학위논문, 학술지, 인터넷 자료 등 문헌연구를 검토하여 공통요인을 추출하고, 총괄재난관리자의 직무와 직위를 중심으로 직무특성을 결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전문가 패널을 통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문헌연구를 분석하여 선정된 항목요인은 소방공무원 10명, 관련학과 교수 5명, 재난전문가 10명으로 구성된 25명의 관련전문가 패널에게 설문을 통한 심층면접 결과를 구성타당도 검증을 하였다. 또한, 신뢰도 분석을 위해 SPSS statistics 2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는 서론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연구방법 및 범위를 설정하였다. 본론에서는 초고층 건축물 등의 의의와 현황, 총괄재난관리자의 직무, 총괄재난관리자 자격별 선임현황, 이론적 고찰로 구성되었다. 결론에서는 설문항목에 대한 분석과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범위는 총괄재난관리자의 직무만족을 위한 항목요인에 대한 예비조사를 통한 연구만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른 항목요인과 설문문항은 향후, 시범조사를 위한 총괄재난관리자의 직무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적합한 항목설계 연구가 필요하다.

2. 본 론

2.1 초고층 건축물의 의미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재난관리에 관한 특별법」은 총 5장 35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장은 총칙, 제2장은 예방 및 대비, 제3장은 재난대응 및 지원, 제4장은 보칙, 제5장은 벌칙으로 이루어져 있다. 우리나라는 “초고층 건축물 등”이란 층수가 50층 이상 또는 높이가 200미터 이상인 건축물을 말하며,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이란 층수가 11층 이상이거나 1일 수용인원이 5천명 이상인 건축물로서 지하 부분이 지하역사 또는 지하도 상가와 연결된 건축물 또는 건축물 안에 문화 및 집회시설, 판매시설, 운수시설, 업무시설, 숙박시설, 위락(慰樂)시설 중 유원시설업(遊園施設業)의 시설 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용도의 시설이 하나 이상 있는 건축물로 정의하고 있다.2) 주요 내용으로는 재난 예방 및 피해경감대책의 수립․시행, 재난 및 안전관리협의회 구성․운영 및 통합안전점검, 재난관리 교육․훈련 및 홍보, 총괄재난관리자의 선임, 종합방재실 설치․운영 및 재난관리 종합시스템 구축, 유해․위험물질의 관리, 피난안전구역의 설치 및 안전기준의 강화, 재난대응 및 긴급지원체계의 구축, 재난정보의 전파․공유 및 대피․피난유도 등이 있다.3) 법령의 구분과 주요내용은 다음 Table 1과 같다.

Table 1.

Special Act on Disaster Management for Skyscrapers and Underground Linked Complex Buildings Main Content

Division Contents
Chapter 1 General Rules Purpose, Justice, Apply Target, Responsibility, Relationship with other laws
Chapter 2 Prevention
and Preparation
Prior Disaster Impact Review Consultation, Contents, Prohibition of prior permission,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disaster prevention and damage reduction plans,
Submission of disaster prevention and damage reduction Plans,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the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Council, General disaster manager appointed, Integrated safety
inspection, Education and Training, PR plan establishment,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a
comprehensive disaster prevention room, Establishment of a comprehensive disaster management
system, Establishment of an evacuation safety zone, Management of hazardous and
hazardous substances, Keeping design documents
Chapter 3 Disaster
Response and Support
Establishment of disaster response and support system,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initial
response team, Sharing and disseminating disaster information, Evacuation and Evacuation Guidance
Chapter 4 Supplement Access to the relevant area, Reporting and inspection, Research and technology development
for disaster prevention and damage reduction, Authority and Delegation
Chapter 5 Penalty Penalty, Fine for negligence, Mposition and collection of fines

2.2 우리나라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현황

우리나라의 초고층 건축물 등은 총 418개소로 초고층 120개소,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298개소로 서울이 201개소로 가장 많으며, 부산 73개소, 경기 58개소 순으로 주로 인구가 많은 대도시에 집중되어 분포되어 있어, 재난발생 시 대규모 인명피해가 불가피해 보인다. 전국적으로 인구가 많은 9개 시․도에 초고층 건물과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이 집중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그 현황은 다음 Table 2과 같다.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은 최근 5년간 연평균 5%씩 증가하는 추세로 나타나고 있다(National Fire Agency, 2021). 이는, 그 만큼 우리가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환경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위험을 대비하기 위해서 초고층 건축물 등에 예방, 대비, 대응, 복구단계로 구성된 재난관리체제 확립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Table 2.

Status of Skyscrapers, etc (National Fire Agency, 2021) (2021.1.1.)

Division Sum Seoul Busan Daegu Incheon Daejeon Ulsan Gyeonggi Chung-
nam
Gyeong-
nam
Skyscrapers 120 24 38 8 19 8 2 19 1 1
Underground Linked
Complex Buildings
298 177 35 25 17 5 39
Sum 418 201 73 33 36 13 2 58 1 1

2.3 총괄재난관리자의 직무

총괄재난관리자의 업무는 재난 및 안전관리 계획의 수립, 재난예방 및 피해경감계획의 수립ㆍ시행, 통합안전점검 실시, 교육 및 훈련, 홍보계획의 수립ㆍ시행, 종합방재실의 설치ㆍ운영, 종합재난관리체제의 구축ㆍ운영, 피난안전구역 설치ㆍ운영, 유해ㆍ위험물질의 관리, 초기대응대 구성ㆍ운영, 대피 및 피난유도에 관한 사항업무를 총괄.관리 하여야 하며, 시설, 전기, 가스, 방화 등의 재난․안전관리 업무 종사자를 지휘, 감독한다.4) 또한, 건축물 및 시설물(이하 “초고층 건축물 등”이라 한다)의 유지ㆍ관리 및 점검, 보수 등에 관한 사항과 방범, 보안, 테러 대비ㆍ대응 계획의 수립 및 시행에 관한 사항에 대한 업무를 수행하여야 한다.5) 결론적으로, 총괄재난관리자는 재난 및 안전관리계획의 수립부터 대피 및 피난유도에 관한 사항뿐만 아니라, 초고층 건축물 등의 재난 및 안전관리 업무 종사자 모두를 일사불란하게 지휘하고, 감독할 수 있어야 하며, 시설의 유지관리, 방법, 보안, 테러 등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통합재난관리 업무에 책임과 권한이 부여되어야 한다.

총괄재난관리자는 다양한 자격과 풍부한 경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법령에서는 총괄재난관리자로 지정될 수 있는 자격요건으로 건축사, 안전관리 분야 기술사, 특급 소방안전관리자 선임자격을 갖춘 사람, 안전관리 분야 기사 및 실무경력 5년 이상인 사람, 안전관리 분야 산업기사 및 실무경력 7년 이상인 사람, 주택관리사로 실무경력 5년 이상인 사람으로 지정하여 선임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선임현황은 다음 Table 3과 같다.

Table 3.

General disaster manager Qualification

Qualifications Career Duty
Architect Not applicable Building Design, Construction, supervision
Technician Safety management
field
Engineering Knowledge and Skills, Rich
Professionals with practical experience
Fire Safety Manager Qualification Training on firefighting plan preparation, Self-defense fire brigade organization,
Fire alarm evacuation, etc.
Maintenance of firefighting facilities;
Supervision of firearm handling and other duties necessary
for fire safety management
Safety Management
field Engineer
Career more than 5
More than years
Professional manpower by Field
Safety Management field
industrial Engineer
Career more than 7
More than years
Professional manpower by Field
House Manager Career more than 5
More than years
Manage the operation, management,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apartment
house, and Manage the expenses necessary for this, and perform maintenance,
Management, and Safety Management of the common part of the apartment house,
as well as Ancillary facilities and welfare facilities owned by the common owner.

2.4 총괄재난관리자 자격별 선임현황

2022.01.25.일현재 소방청 통계자료에 따르면, 총괄재난관리자의 자격별 선임자는 총 428명으로 소방업무와 관련된 특급 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될 수 있는 자격을 갖춘 사람이 157명(36.68%)으로 가장 많았으며, 건축ㆍ기계ㆍ전기ㆍ토목 또는 안전관리 분야 기사로서 재난 및 안전관리에 관한 실무경력이 5년 이상인 사람이 100명(23.36%)으로 그 뒤를 따랐다. 주택관리사로서 재난 및 안전관리에 관한 실무경력이 5년 이상인 사람 95명(22.19%), 건축ㆍ기계ㆍ전기ㆍ토목 또는 안전관리 분야 산업기사로서 재난 및 안전관리에 관한 실무경력이 7년 이상인 사람 71명(16.58%), 건축사와 건축ㆍ기계ㆍ전기ㆍ토목 또는 안전관리 분야 기술사가 5명(1.16%) 순으로 선임현황이 대상 수 보다 많은 것은 한 사람이 자격증을 중복하여 소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자격별 선임현황은 다음 Table 4와 같다.

Table 4.

General disaster manager Status

Region Sum No. 1
(Architect,
Technician)
No. 2
(Fire Safety
Manager)
No. 3
(Engineer)
No. 4
(Industrial
Engineer)
No. 5
(House Manager)
Gyeonggi 56 1 22 9 13 11
Gyeongnam 1 1
Gwangju 1 1
Daegu 22 6 6 6 4
Daejeon 5 1 2 2
Busan 56 1 16 16 7 16
Seoul 258 3 107 60 41 47
Ulsan 0 0
Incheon 28 6 8 2 12
Chungnam 1 1
Sum 428 5 157 100 71 95

Sources : General disaster managers current situation (2022.01.25.days the present), National Fire Agency

2.5 직무만족도의 이론적 고찰

직무만족 요인은 크게 내재적 요인과 외재적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직무는 하나의 실체가 아닌 과업, 책임과 역할, 상호작용, 유인책, 급여후생, 상여금 지급과 같은 보상 등의 다양한 특성과 요인들로 상호연관성을 갖는다. 직무만족에 대해서 Mora Romero and Mariscal Rosado (2019)는 목표달성, 동기부여 등으로 Srimindarti (2020)는 리더쉽, 헌신적 태도, 인간관계 등으로 Hendrawijaya (2020)은 성과수당, 업무량, 업무문화 등으로 Demir (2020)은 자신감, 자기효능감 등으로 Biricik (2020)은 자기효능감과 같은 긍정적 심리, 조직간 관계 등을 직무만족에 개념으로 정의하고 있다(Lee, 2021).

내재적 요인에는 직무를 수행하는 그 사람 자체에 대한 개인적인 특성과 직무 자체에 대한 특성이 포함된다. 개인적 특성에는 성격, 기분과 정서, 직무독립서, 직무관심, 직무에 대한 몰입 등이 있다(Furnham et al., 2002). 외재적 요인은 직무 그 자체보다는 직무를 둘러싼 환경적 요인에 관련된 것이다. 고용안정, 승진, 보상, 감독 및 상사와의 관계 등이 있다(Lencuta, 2017).

본 연구와 관련된 총괄재난관리자의 직무만족도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서 관련 선행연구가 부족하여, 유사한 직무만족도 선행연구를 조사하고, 총괄재난관리자의 설문조사를 위한 항목에 대하여 요인을 다음 Table 5과 같이 분석하였다.

Table 5.

Summary of Previous Studies

Previous Research Contents Job satisfaction factors
Correlates of satisfaction Among Human
service Workers,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Barber, 1986)
Responsible duties, sense of achievement, recognition,
promotion, salary and benefits,
Working environment, communication, organization members
A Study on Job Satisfaction of Regarding
Facilities Management Corporation
(Jang, 2009)
self-esteem, sense of accomplishment, vision, communication, workload,
Working hours, employees, organizational culture,
performance evaluation, gender equality,
Salary benefits, working environment, job stress
The Impacts to BSC (Balanced Scorecard)
Indicators on Job Satisfaction for Improving
Management Performance (Lee, 2010)
Wages, sense of achievement, recognition, working conditions, company polic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orking conditions, additional benefits
Impact of the Principal’s Creative Ledadership
on Child Care Teacher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oo, 2017)
Colleague relationship, job characteristics, working environment,
remuneration, promotion

선행연구를 통한 공통요인으로는 보수임금, 커뮤니케이션, 회사정책, 성취감, 근로 환경, 직무 의무, 인정, 승진, 업무량, 근무시간, 성과평가, 양성평등, 직무 스트레스, 부가급여 등 13개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직무특성 요인으로는 계획수립, 협의회 구성․운영, 통합안전점검실시, 교육 및 훈련, 종합방재실 설치․운영, 유해․위험물질의 관리, 초기대응대 설치․운영, 재난정보의 공유 및 전파, 대피 및 피난유도 9개 요인을 도출하였다. 공통요인과 직무특성요인은 다음 Table 6과 같다.

Table 6.

Common Factors and Job Characteristics Factors

Common Factor Company Policy, Working Environment, Remuneration, Communication, Sense of Achievement,
Working Environment, Recognition, Promotion, Gender Equality, Individual Workload
(Individual Working Hours), Individual Performance Evaluation, Individual Job Stress (Job),
Additional Benefits (Compensation)
Job characteristics
Factor
Establishment of Plans,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Councils,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safety
Inspections, Education and Training,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Comprehensive disaster Prevention rooms,
Management of Hazardous and Hazardous Substances,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Initial Response Teams,
Sharing and Dissemination of Disaster information, Evacuation and Evacuation Guidance

3. 직무만족도 문항요인 분석

3.1 분석개요

본 논문의 문항개발은 선행연구를 통해 추출한 공통요인 61개 설문항목(내재적 요인 20개 항목, 외재적 요인 41개 항목)과 직무특성 요인 9개 설문항목에 대하여 소방공무원 10명, 관련학과 교수 5명, 재난전문가 10명으로 구성된 25명의 전문가에게 2022.04.20.~4.30 (11일간) 기간 동안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결과 25명 중 결측값이 있는 5명을 제외하고, 20명에 대하여 구성 타당도(Lawshe, 1975)6)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재난전문가 패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은 남성이 18명으로 90%를 차지하였으며, 재난전문가가 14명으로 70%, 50대가 8명으로 40%, 근무년수는 10년이상이 9명으로 50%로 구성되었다. 자세한 특성은 Table 7과 같다.

Table 7.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xpert Panel

Sortation Classification Frequency Percentage
Gender male 18 90.0
woman 2 10.0
Sum 20 100.0
Job fire official 6 30.0
disaster expert 14 70.0
Sum 20 100.0
Age 20s 6 30.0
40s 4 20.0
50s 8 40.0
60s 2 10.0
Sum 20 100.0
Work experience 5 Less than year 9 45.0
5 More than year
10 Less than year
1 5.0
10 More than year 10 50.0
Sum 20 100.0

3.2 총괄재난관리자의 직무만족도 설문지 구성

설문항목에 대한 구성다탕도 검증결과 0.42값 미만의 설문문항은 제거하고, 공통요인(a,b) 61개 설문항목 중 17개를 채택하였으며, 직무특성(c)은 9개 설문항목 중 9개를 채택하였다. 설문항목은 다음 Table 8, Table 9와 같다.

Table 8.

Common factors survey items

Main cause Question cvr
Common factor
(17)
I am generally satisfied with my work. 0.50
What I do now is very important and is highly regarded in the company. 0.70
I am entrusted with sufficient authority on the performance of my work. 0.60
I’m currently working on a job that suits my aptitude. 0.50
There are many opportunities to learn new things in the current job, so it is developing. 0.50
I have a strong attachment to the work that is currently done. 0.50
I have a sense of responsibility and passion for my work. 0.50
I am interested in the future of our company. 0.60
The development of our company is closely related to my development. 0.80
I think I have a vision to grow in my company. 0.50
I am making the best effort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our company. 0.50
I am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working conditions of our company. 0.50
Our company’s welfare aspect is better than other companies. 0.50
I am satisfied with our company’s holiday and vacation system. 0.50
Our company treats men and women equally without gender discrimination. 0.50
Our company has the capability to continue developing in the future. 0.50
I am making the best effort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our company. 0.50
Table 9.

Job characteristics factor survey items

Main cause Question cvr
Job characteristics
Factor
(9)
I make my disaster management plan independently. 0.50
I have the authority to organize and operate the Disaster Management Council. 0.5
I establish and carry out an integrated safety inspection on my own. 0.60
I conduct education and training on disaster management. 0.50
I set up and operate a comprehensive disaster prevention room for disaster management. 0.90
I have the authority to manage hazardous substances and hazardous substances. 0.70
I’m setting up and operating an initial response force. 0.50
I am sharing and disseminating disaster information for disaster management work. 0.80
I conduct evacuation and evacuation guidance in charge of training. 0.60

3.3 신뢰도 분석

총괄재난관리자의 직무만족도 설문문항 개발은 공통요인, 직무특성 요인에 대하여 기술적 통계인 내적 일관성 검증을 위해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방법으로는 크롬바흐 알파 계수를 산출하여, 신뢰도를 판단하는데, 일반적으로 0.7이상이면, 신뢰도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한다(Jeon, 2021). 본 연구결과, 공통요인은 0.915, 직무특성 요인은 0.959로 신뢰도가 매우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분석결과는 다음 Table 10과 같다.

Table 10.

Reliability Analysis of Factors

Sortation Cronbach α Number of items
Common factor 0.915 17
Job characteristics Factor 0.959 9

4. 결 론

4.1 결과요약

본 연구에서는 총괄재난관리자의 직무만족도의 설문항목을 개발하기 위해 하위요인을 크게 공통요인과 직무특성 요인 2가지로 도출하였다. 도출된 요인분석으로 만들어진 설문항목은 전문가들의 검증과정을 통해 공통요인 17개 설문항목과 직무특성 요인 9개 설문항목으로 총 26개 설문항목으로 구성하였다. 결과를 요약해 보면, 선행연구를 통해 추출한 공통요인 61개 설문항목과 직무특성 요인 9개 설문항목에 대하여 결측값을 제외한 20명에 설문결과에 대하여 구성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응답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은 남성이 18명(90%), 재난전문가가 14명(70%), 50대가 8(40%), 근무년수는 10년이상 9명(50%)으로 많은 순으로 구성되었다. 설문항목에서 구성타당도가 0.42값 미만의 설문문항은 제거하고, 공통요인(a,b)은 17개를 채택하였으며, 직무특성(c)은 9개를 채택하였다. 신뢰도는 공통요인이 0.915, 직무특성 요인이 0.959로 매우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4.2 제언

본 연구를 통해 총괄재난관리자의 통합적 재난관리를 위한 직무 만족의 향상을 위해서는 첫째, 가장 중요한 부분은 보수임금, 의사소통, 회사정책, 성취감, 근무환경 등이 있다. 특히, 총괄재난관리자의 직무에 특성으로 볼 때, 다른 공통요인에서 볼 수 있다. 둘째, 직무특성 요인은 법령에 따른 업무를 열거하고 있는 것을 설문항목으로 이끌어 내어 초고층 건축물 등에 직무특성에 맞는 항목을 설계하여 향후 연구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셋째, 총괄재난관리자의 직무만족도는 선임자격자가 다양한 분야에서 충분한 자격을 취득한 자로 선임하고 있다. 이는, 총체적인 재난관리업무의 어려움으로 반영하여 설문항목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요인분석을 공통요인과 직무특성 요인 2가지에 한정하여 전문가 패널로 구성된 예비조사만을 실시하여 일반화시킬 수는 없는 한계가 있어, 향후, 시범조사를 통한 총괄재난관리자의 직무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적합한 항목설계 연구가 필요하다.

각주

[2] 1) 대한민국국회 (2009).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학건축물 재난관리에 관한 특별법안 안전행정위원회 검토보고서 요약정리.

[3] 2)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재난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초고층 건축물”이란 층수가 50층 이상 또는 높이가 200미터 이상인 건축물을 말한다(「건축법」 제84조에 따른 높이 및 층수를 말한다. 이하 같다). 2.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이란 다음 각 목의 요건을 모두 갖춘 것을 말한다. 가. 층수가 11층 이상이거나 1일 수용인원이 5천명 이상인 건축물로서 지하부분이 지하역사 또는 지하도 상가와 연결된 건축물, 나. 건축물 안에 「건축법」 제2조제2항제5호에 따른 문화 및 집회시설, 같은 항 제7호에 따른 판매시설, 같은 항 제8호에 따른 운수시설, 같은 항 제14호에 따른 업무시설, 같은 항 제15호에 따른 숙박시설, 같은 항 제16호에 따른 위락(慰樂)시설 중 유원시설업(遊園施設業)의 시설 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용도의 시설이 하나 이상 있는 건축물.

[4] 3)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재난관리에 관한 특별법(법률 제17171호, 2020.03.31.) 요약.

[5] 4)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재난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12조(총괄재난관리자의 지정 등).

[6] 5)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재난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규칙 제2조 제1항에서 정의하고 있는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한 사항임.

[7] 6) 해당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구성된 이론적, 연구적 틀이 해당 개념을 설명하기에 적합한 구성인지를 전문가 패널들에게 물어 측정한 것이다. CVR을 구하기 위해 Lawshe, C. H. (1975)에서 활용된 공식 a) 를 활용하였다. 패널이 20명인 경우는 cvr 값은 0.42이상이면 구성타당도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References

1
Baeg, G. B. (2015). Organizational Behavior. Changminsa.
2
Barber, G. (1986). Correlates of Job Satisfaction Among Human Service Workers.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3
Biricik, Y. S. (2020).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Offering Sports Education. World Journal of Education. 10(3): 57-64. 10.5430/wje.v10n3p57
4
Demir, S. (2020). The Role of Self-Efficacy i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Motivation and Job Involvement. Eurasi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85: 205-224. 10.14689/ejer.2020.85.10
5
Furnham, A., Petrides, K. V., Jackson, C. J., and Cotter, T. (2002). Do Personality Factors Predict Job Satisfact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3(8): 1325-1342. 10.1016/S0191-8869(02)00016-8
6
Hendrawijaya, A. T., Hilmi, M. I., Hasan, F., Imsiyah, N., and Indrianti, D. T. (2020). Determinants of Teacher Performance with Job Satisfactions Mediation. 10.29333/iji.2020.13356a
7
Jang, Y. S. (2009). A Study on Job Satisfaction of Regarding Facilities Management Corporation.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8
Jeon, T.-H. (2021). A Paper that Passes at Once : How to prepare and interpret the SPSS result table. Hanbit Academy. 145.
9
Korea Law Information Center (2022). Special Act on Disaster Management of High-rise and Underground Complex Buildings. https://www.law.go.kr. accessed 11. November 2022.
10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10.1111/j.1744-6570.1975.tb01393.x
11
Lee, Y. B. (2010). Effect of Job Satisfaction to Improve Hotel Management Performance on BSI Evaluation Indicators.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Kwandong University.
12
Lee, Y. J. (2021).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Acquisition of a Certificate of Corporate Disaster Manager on job Satisfaction.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13
Lencuta (2017). Job Satisfaction: A Literature Review.
14
Linked Complex Buildings. https://www.law.go.kr. accessed 11 November 2022.
15
Locke, E. A. (1968). Toward a Theory of Task Motivation and Incentives. Organizational Behavior & Human Performance. 3(2): 157-189. 10.1016/0030-5073(68)90004-4.
16
Mora Romero, J. L. and Mariscal Rosado, Z. M. (2019). Correlación entre la satisfacción laboral y desempeño laboral. Dilemas Contemporáneos: Educación. Política y Valores. 7.
17
National Fire Agency (2021). High-rise and Underground-linked Complex Building Disaster Management Work Manual. Sejong: NFA.
18
National Fire Agency (2022). General Disaster Managers Current Situation. 25. 1. 2022. Sejong: NFA.
19
National Legislation Information Center (2022). Special Act on Disaster Management for High-rise and Underground. Sejong: MOLEG.
20
Naver Knowledge Encyclopedia (2022). https://terms.naver.com. accessed 11 November 2022.
21
Srimindarti, C., Oktaviani, R. M., Hardiningsih, P., and Udin, U. (2020).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of Auditors: A Case Study of Indonesia. Quality-Access to Success. 21(178).
22
The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Korea (2009). Special Act on Disaster Management of High-rise and Underground Complex Buildings Safety and Administration Committee Review report, Seoul: ASSEMBLY.
23
Woo, Y. S. (2017). Impact of the Principal’s Creative Ledadership on Child Care Teacher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ongsil University.
24
Yun, D.-S. (2017). A Study on the Planning of Disaster Prevention and Damage Reduction in Skyscrapers. Master degree,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Urban Science University of Seoul.

Korean References Translated from the English

1
네이버 지식백과 (2022). https://terms.naver.com. accessed 11 November 2022.
2
대한민국국회 (2009).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학건축물 재난관리에 관한 특별법안 안전행정위원회 검토보고서. Seoul: 국회.
3
백기본 (2015). 조직행동연구. 창민사.
4
법제처국가법령정보센터 (2022)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재난관리에 관한 특별법. https://www.law.go.kr. accessed 11 November 2022.
5
소방청 (2021).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재난관리업무매뉴얼. 세종: 소방청.
6
소방청 (2022). 총괄재난관리자 현황(2022.01.25.일 현재). 세종: 소방청.
7
우연수 (2017).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창의적 리더십이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이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8
윤동수 (2017). 초고층건축물의 재난예방 및 피해경감 계획수립 방안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 서울.
9
이영준 (2021). 기업재난관리사 자격증 취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10
이용배 (2010). 호텔경영성과 제고를 위한 직무만족이 BSI평가지표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11
장윤수 (2009). 시설관리공단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12
전태호 (2021). 한번에 통과하는 논문 : SPSS 결과표 작성과 해석방법. 한빛아카데미. p. 145.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