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iginal Articl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30 June 2021. 51-59
https://doi.org/10.21729/ksds.2021.14.2.51

ABSTRACT


MAIN

  • 1. 서 론

  • 2. 모형의 기본 이론

  •   2.1 HEC-RAS

  •   2.2 HEC-GeoRAS

  •   2.3 ArcGIS

  • 3. 모형의 적용

  •   3.1 연구 대상 지역

  •   3.2 HEC-GeoRAS 적용

  • 4. 분 석

  • 5. 결 론

1. 서 론

최근 전 세계적인 이상기후에 따라 물과 관련된 재난 피해사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상기후로 태풍 및 집중호우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무분별한 개발로 인하여 불투수면적 증가로 지표면 유출이 급증하여 침수로 인한 피해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기후변화가 심각해지면서 국내 국지성 집중호우가 자주 발생하며, 홍수 피해규모가 대형화되고 예측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자연재해에 의해 발생하는 피해는 약 90% 이상이 기상과 관련된 것이며, 통계에 따르면 이 중 호우, 태풍, 폭풍에 의한 것이 80%를 넘는다(Hong, 2016).

2018년 재해연보 통계자료에 따르면 최근 10년 동안 풍수해 피해액은 301,680백만원으로 전체 재해평균 피해액인 344,142백만원의 87.66%에 해당된다. 이처럼 풍수해가 다른 재해보다 큰 비중을 차지하는 근본적 원인은 불투수면적의 증가와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성 집중호우의 발달 및 지표면 유출량의 증가 등을 들을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국토의 63% 이상이 산지로 이루어져 있어 유출이 빠르게 발생하고 여름청 장마기간에 강수가 집중되는 특성이 있어 홍수와 가뭄에 취약하다.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호우의 발생 빈도 및 규모는 지속적인 증가 추세에 있으나 홍수 및 침수 등의 재해로부터 사전예방 및 신속한 대응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홍수위험지도 및 재해(정보)지도는 반드시 필요하고, 이러한 위험 지도 제작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내용은 홍수범람해석이다(Hong, 2016).

기존 국내 하천범람 연구들을 살펴보면 2001년 소하천을 대상으로 HEC-RAS와 FLDWAV 모형을 통한 부정류해석 및 홍수범람해석을 수행하였고(Shin et al., 2001), 2009년은 중・소규모 자연하천 유역에서 CIVIL 3D & HEC-RAS TOOL Extension과 ArcGIS & HEC-GeoRAS Extension의 두 기법을 이용하여 홍수범람해석을 통한 범람면적 및 침수심을 비교・분석한 바 있다. 또한(Moon et al., 2009), 2010년에 ArcGIS와 HEC-GeoRAS 등을 탈피한 수리해석 및 범람해석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RiverCAD를 이용하여 중・소규모 하천을 대상으로 실무에서 주로 이용되는 CAD를 기반으로 하여 하천지형을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구축함으로 효율적인 홍수 범람해석을 수행하였다(Lee et al., 2010). 2014년에 HEC-GeoRAS, RAS Mapper, RiverCAD모형을 적용하여 홍수범람해석을 수행하였으며 3가지 모형중 HEC-GeoRAS가 가장 범람면적이 유사하게 나타났다(Moon et al., 2014).

최근 2020년 12월 환경부는 방재계획 수립과 홍수위험구역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2,200여장의 홍수위험지도를 공개하고 있으나 소하천이 고려되지 않고 있으며 100년 빈도의 홍수범람지도만 공개하고 있다. 연구대상지인 세종특별자치시의 금남면 도남리의 도남천 지구의 경우 「하천기본계획(2020)」에 따라 상습침수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금강과 인접해 있어 환경부에서 제공한 금강의 100년 빈도의 홍수위험지도를 통해 하류부의 피해예측이 가능 하나 하천 설계가 50년 빈도로 설정되어 있어 상류부의 범람과 100년 빈도 이하의 범람 시 피해예측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하천재해 위험지구 상습침수구역으로 선정된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 위치한 도남천지구에 HEC-GeoRAS 모형을 적용하여 빈도별 홍수범람지도를 제작하고 소하천의 홍수범람지도 작성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2. 모형의 기본 이론

2.1 HEC-RAS

HEC-RAS 모형은 미육군공병단에서 개발한 하천해석시스템으로, 하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해석을 할 수 있는 종합적인 하천해석모형이다. 이 모형은 정상류 해석, 부정류 해석, 하천 수질해석, 유사에 의한 하상변동 등을 모의 할 수 있다. HEC-RAS의 장점은 다양한 하천흐름 해석을 사용자가 사용하기 쉽게 고려할 수 있으며 계산결과를 쉽게 검토할 수 있도록 구축되어 있다. 수면곡선은 Fig. 1과 같이 표준축차법에 의해 에너지 방정식을 반복과정에 의해 계산된다. 최초의 단면에서의 값은 그 다음 단면을 계산해 나가는데 사용된다. 에너지 방정식은 Eq. (1)과 같다.

(1)
WS2+α2V222g=WS1+α1V122g+he

에너지 손실수두 공식은 Eq. (2)와 같다.

(2)
he=LSf+Cα2V222g-α1V122g

유량 가중 구간길이의 식은 Eq. (3)와 같다.

(3)
L=LlobQlob+LchQch+LrobQrobQlob+Qch+Qrob

여기서, WS1, WS2 : 구간 양단에서의 수위, α1, α2 : 구간 양단에서 흐름의 유속계수, V1, V2: 구간 양단에서의 평균유속(총 유량/총 유수단면적), g : 중력가속도, he : 에너지 손실수두, L : 유량 가중 구간 길이, Sf : 구간에서의 대표 마찰 경사 값, C : 단면 확대 또는 축소에 의한 손실계수, Llob, Lch, Lrob : 각각 좌측제방, 본수로, 우측제방에서의 흐름에 대한 구간길이, Qlob, Qch, Qrob : 각각 좌측 제방, 본 수로, 우측 제방 각각의 단면간 유량 평균이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ds/2021-014-02/N0240140206/images/ksds_14_02_06_F1.jpg
Fig. 1

Diagram of energy equation

2.2 HEC-GeoRAS

HEC-GeoRAS는 HEC-RAS와 연동되며 지형공간 데이터를 시각화하기 위해 설계된 ArcGIS의 확장모형이다. HEC-GeoRAS는 HEC-RAS에 들어갈 지형데이터 생성할 뿐만 아니라 HEC-RAS에서 모의된 결과를 시각화 한다. HEC-GeoRAS는 불규칙 삼각망(TIN : Triangular Irregular Network)으로 표현된 DTM과 하천중심선 및 제방, 횡단면선을 요구한다.

2.3 ArcGIS

ArcGIS는 ArcCatalog, ArcMAP, ArcToolbox, ArcGlobe등을 포함하는 통합 프로그램이다. 이를 통해 지리분석, 시각화, 매핑 등의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ArcGIS를 이용하여 연구대상지역의 불규칙 삼각망(TIN : Triangular Irregular Network)를 생성하고 지형 분석 및 침수면적 분석에 사용하였다.

3. 모형의 적용

3.1 연구 대상 지역

본 연구 대상 지역은 세종특별자치시 「하천기본계획(2020)」에 따라 상습침수구역인 세종특별자치시의 금남면 도남리의 도남천지구로 유역면적은 1.86 km2, 유로연장 2.11 km, 평균고도 104.06, 평균경사 20.36이다. Fig. 2는 연구대상지를 나타내고 있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ds/2021-014-02/N0240140206/images/ksds_14_02_06_F2.jpg
Fig. 2

Study Area

3.2 HEC-GeoRAS 적용

3.2.1 preRAS

preRAS 작업 전처리 작업으로 ArcGIS에서 HEC-GeoRAS extension 을 이용한 작업이다. preRAS 작업은 HEC-RAS작업 시 geometric data를 더 손쉽게 구축하기 위해 수행하는 작업으로 연구대상지역의 지형자료를 구축하기 위해 사용했다. 지형자료는 1:5000의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ArcGIS 프로그램으로 불규칙 삼각망(TIN : Triangular Irregular Network)을 생성했다. 이후 HEC-RAS에서 수리 분석을 위한 기하학적 자료를 불규칙삼각망으로부터 추출하기 위해 RAS theme을 생성했다. RAS theme은 Stream Centerline, Banks, Cross Section Cut Line, Flow pathlines으로 구성되며 이를 생성하여 Fig. 3와같이 표현하였다. RAS theme이 완성 후 RAS theme을 속성처리를 하고 GIS data를 RAS data로 변환하였다. Fig. 4은 HEC-RAS에서 GIS data 파일을 불러온 그림이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ds/2021-014-02/N0240140206/images/ksds_14_02_06_F3.jpg
Fig. 3

Study Area Triangular Irregular Network and RAS theme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ds/2021-014-02/N0240140206/images/ksds_14_02_06_F4.jpg
Fig. 4

Geometric data of HEC-RAS

3.2.2 홍수위 해석

연구대상 지역의 홍수위를 산정하기 위해 HEC-RAS모형을 사용하였으며 매개변수인 횡단자료와 홍수량자료 및 조도계수는 세종특별시의 「하천기본계획(2020)」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HEC-RAS의 매개변수 입력은 Fig. 5와 같이 입력하였으며 빈도별 홍수량 자료와 조도계수의 자료는 Table 1와 같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ds/2021-014-02/N0240140206/images/ksds_14_02_06_F5.jpg
Fig. 5

Parameter Input of HEC-RAS

Table 1.

Flood flow and Manning’s n

Flood flow Manning’
year
RS
30 year 50 year 80 year 100 year 1.22~0.5 0.034
1.22 18 20 22 23 0.5~0 0.03
0.65 18 20 22 24
0.4 27 30 34 35

모든 입력을 마치고 난 후 Perform a Steady flow Simulation 메뉴를 선택하여 모의하였다. 이후 HEC-RAS의 모의 결과를 ArcGIS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Export GIS Data로 변환했다.

3.2.3 postRAS

postRAS는 후처리 작업으로 HEC-RAS의 모의 결과를 Export GIS Data하여 ArcGIS상에 침수범위를 표현하였다.

빈도별 침수면적 분석결과는 Fig. 6와 같이 확인되었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ds/2021-014-02/N0240140206/images/ksds_14_02_06_F6.jpg
Fig. 6

Analysis of Flood Area by Frequency

4. 분 석

HEC-GeoRAS 모형을 통한 빈도별 침수면적 토지이용도를 확인한 결과 30~80년 빈도의 경우 소하천 하류보다 소하천 상류부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도로와 특수작물의 피해가 발생하였으며 100년빈도의 경우 하류부에 주로 위치한 공공용지와 일반주택지의 침수피해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7).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ds/2021-014-02/N0240140206/images/ksds_14_02_06_F7.jpg
Fig. 7

Land Use of Inundation Area by Frequency

환경부가 제공한 100년빈도 금강 홍수범람지도와 도남천의 범람지도의 중첩 정도를 파악하기 Bates and De Roo(2000)가 제시한 적합도 측정(F) 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적합도 측정 공식은 다음 Eq. (4)와 같다.

(4)
F=M1M2M1M2×100%

여기서 M1은 환경부 제공한 범람지도, M2는 HEC-GeoRAS 모의결과, M1M2M1M2의 교집합, M1M2M1M2의 합집합이다.

Fig. 8M1M2의 범람지도, Fig. 9M1M2M1M2, Fig. 10은 하류부의 M1M2, M1M2 를 나타낸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ds/2021-014-02/N0240140206/images/ksds_14_02_06_F8.jpg
Fig. 8

M1, M2 flood map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ds/2021-014-02/N0240140206/images/ksds_14_02_06_F9.jpg
Fig. 9

M1M2, M1M2 flood map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ds/2021-014-02/N0240140206/images/ksds_14_02_06_F10.jpg
Fig. 10

Downstream part M1M2, M1M2 flood map

분석결과 환경부 제공 범람지도와 HEC-GeoRAS의 모의결과로 작성된 범람지도의 전체 적합도는 62.02%로 나타났으나 하류부의 경우 적합도가 88.84%로 상승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그 이유는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범람지도는 대하천인 금강만을 고려한 범람지도로 소하천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전체비교시에는 적합도가 낮게 산정되고 하류부만 비교시에는 대하천과 인접한 부분으로 적합도가 전체 보다 상승하는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소하천을 고려한 홍수범람지도 제작을 위해 세종특별시 도남천에 빈도별 홍수량을 적용하여 HEC-GeoRAS를 모의하였다. 모의 결과 홍수량이 30~80년 빈도일 경우 소하천 상류부에 인접한 지역에서 작물 및 도로 등의 재산피해가 발생하였고 100년 빈도 이상의 홍수량 발생시 하류부에 주로 위치한 민가에 침수피해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환경부 홍수범람지도와 HEC-GeoRAS모의 결과를 적합도 측정(F) 식을 사용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66.02%의 적합성이 나타났으며 하류부만을 고려시 적합도는 88.84%로 분석되었다. 이는 환경부 제공 하천범람지도가 소하천인 도남천을 고려하지 않고 국가하천인 금강의 범람만을 고려해 작성되었기 때문에 전체적인 범람지도의 적합도는 하류부 보다 낮게 분석된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 집중호우 빈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향후 홍수범람지도 작성시 기존의 대하천 위주의 홍수범람지도 제작에서 소하천도 함께 고려한 홍수범람지도 분석 및 제작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Acknowledgements

This document was financially supported by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as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ject in Disaster Management (C2001644-01-01).

References

1
Bates, P. D. and De Roo, A. P. J. (2000). A Simple Raster-based Model for Floodinundation Simulation. J. Hydrol. 236(1e2): 54e77. 10.1016/S0022-1694(00)00278-X.
2
Hong, S. S. (2016). A Study on Flood Flood Flood Analysis of the Flood Predicted Area in the Namhan River Basin. The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19(1): 106-119.
3
Lee, J. S., Park, J. Y., Moon, C. G., and Jang, J. U. (2010). A Study on the Flood Inundation Analysis using RiverCAD and HEC-RAS. In Journal of Korea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Conference. 10(1): 648-651.
4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2018). Statistical Yearbook of Natural Disaster.
5
Moon, C. G., Park, J. Y., and Lee, J. S. (2009). A Comparison of Flood Inundation Method in Medium to Small Sized Catchment. In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1476-1481.
6
Moon, C. G., Park, J. Y., Jo, S. G., and Sin, S. C. (2014). A Comparison of Flood Flood Flood Analysis Models using Topographical Element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15(1): 69-77. 10.14481/jkges.2014.15.1.69
7
Shin, H. S., Lee, J. H., and Park, M. J. (2001). Analysis of Small Stream Floods and GIS Inundation Model Method. In Proceedings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513-517.

Korean References Translated from the English

1
문창건, 박종영, 이정식 (2009). 중소규모 자연하천 유역에서 홍수범람기법의 비교.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1476-1481.
2
문창건, 이정식, 조성근, 신사철 (2014). 지형요소를 이용한 홍수범람해석 모형의 비교.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15(1): 69-77. 10.14481/jkges.2014.15.1.69
3
신효성, 이정훈, 박명주 (2001). 작은 하천 홍수 분석 및 GIS 침수 모델 방법.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대회. 513-517.
4
이정석, 박진영, 문창건 (2010). RiverCAD 및 HEC-RAS를 이용한 홍수 침수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지. 10(1): 648-651.
5
행정안전부 (2018). 재해연보.
6
홍성수, 정다솜, 황의호, 채효석 (2016). 남한강 유역의 침수예상지역에 대한 홍수범람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9(1): 106-119.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