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iginal Articl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31 December 2023. 101-108
https://doi.org/10.21729/ksds.2023.16.4.101

ABSTRACT


MAIN

  • 1. 서 론

  • 2. 연구대상 및 분석방법

  • 3. 실증분석

  •   3.1 개인적 특성

  •   3.2 개인적 특성인자에 따른 인식차이

  • 4. 결 론

1. 서 론

최근 전국 지방자치단체 재난안전관리 담당 공무원 업무 전문성의 부족과 관련하여 언론 및 국회에서 매우 심각하게 지적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2016년에 법률저널이 국정감사에서 상임위원회 위원인 황영철 의원의 발언을 인용하면서 정부의 재난조직정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 재난안전관리 공무원의 업무 전문성 및 보유역량이 많이 부족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역량 육성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촉구한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Choi and Kim, 2021). 우리나라의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그들이 재난안전 관리의 일차적 주체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재난안전 관리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Yoo and Eom, 2017; Lee and Nam, 2019).

2005년 이후 전년도의 실적을 바탕으로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33조의2 (재난관리체계 등의 평가 등)에 의거하여 매년 실시되고 있는 중앙, 지자체, 공공기관 등 재난관리책임기관의 재난안전관리 실태를 평가하고 있다. 기관의 책임성과 재난관리 역량 제고를 위하여 2023년 기준 재난관리책임기관 338개(중앙행정기관 29, 공공기관 66, 지자체 243)를 대상으로 중앙행정기관 B그룹(5개) 및 신규 평가기관(3개)의 평가는 실시하되 평가등급은 부여하지 않는 방식으로, 재난관리책임기관의 재난관리 단계별 관리 실태에 대한 공통(조직인력 운영, 예산 확대 등), 예방(교육 홍보, 재해 저감 활동, 방재시설 유지 관리 등), 대비(매뉴얼관리개선, 훈련 등), 대응(초동조치역량, 실제대응사례 등), 복구(복구사업관리 등) 평가대상 기관에 대한 평가계획 수립 및 통보, 평가 실시, 평가 결과 확정 및 통보, 그리고 평가 결과 환류에 따른 절차로 이루어지고 있다. 지표의 구성은 재난관리 단계별 필수 업무, 재난유형별 관리 활동 등 법정사무 이외에도 기관의 역량진단을 위한 정량 ‧ 정성지표로서 6개 분야(공통 예방 대비 대응 복구 가감점), 총 43개 지표로 구성되었다. (평가 방식은) 대상기관에 따라 평가 진행은 민간전문가 구성된 중앙평가단이 중앙행정기관 및 시 ‧ 도를 직접 평가하고, 중앙행정기관 및 시 ‧ 도 자체평가단이 각각 공공기관 및 시 ‧ 군 ‧ 구를 자체 평가하는 이원화되어있다(MOIS, 2023).

연구자는 그동안 중앙평가단원으로 활동하면서 피 평가기관의 재난관련 부서에 근무하는 업무 담당자의 역량이 재난관리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이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남도 22개 시군의 재난관련 부서에 근무하는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재난안전관리업무에 대한 개인역량, 부서역량, 조직환경 및 재난교육에 대한 인식수준의 차이가 어떠한지를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인식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개인역량에 대한 인식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부서역량에 대한 인식차이는 어떠한가?

넷째, 조직환경에 대한 인식차이는 어떠한가?

다섯째, 재난교육에 대한 인식차이는 어떠한가?

2. 연구대상 및 분석방법

본 연구에서는 전라남도 22개 시군의 재난관련 부서에 근무하는 공무원들의 재난안전 관리업무에 대한 개인역량, 부서역량, 조직환경 및 재난교육에 대한 인식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2023년 8월 1일~8월 15일까지 전라남도 22개 시군의 재난관련 부서에 근무하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5~10명씩 무작위 표본추출(Random Sampling)방법을 이용하여 선정된 표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설문조사를 위한 설문지의 구성은 응답자의 인적 특성을 제외한 연구모형에 포함된 변수들에 대해 ‘전혀 아니다(1), 중간(3), 매우 그렇다(5) 등의 리커트(Likert)5점 척도(1~5점)로 계량화하여 측정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설문지는 개인역량 6개, 부서역량 6개, 조직환경 7개, 재난교육 9개 항목으로 모두 28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그 중에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대한 물음은 6문항을 포함하였다.

전라남도 재난관리과를 통하여 회수된 137부의 설문지는 SPSS 20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검증과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등을 실시하였다(Kim, 2018).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항목들은 Jang(2008), Kim(2015), Shin(2016), Lee(2020). Choi and Kim (2021) 등의 연구로부터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변경하였다.

3. 실증분석

3.1 개인적 특성

전라남도 22개 시군의 재난관련 부서에 근무하는 공무원들의 재난안전관리업무에 대한 개인역량, 부서역량, 조직환경 및 재난교육에 대한 인식수준을 조사하기 위한 설문조사 결과에 있어서 전체 응답자의 개인적 특성은 Table 1에서 보는 바와 같다.

Table 1.

Person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Classification Frequency (number) Ratio (%)
Gender Man 88 64.2
Woman 49 35.8
Age Twenties 31 22.6
Thirties 59 43.1
Forties 27 19.7
Fifties 20 14.6
Academic background High school graduates and below 17 12.4
Graduated from a community college 15 10.9
College graduation 100 73.0
Graduate school graduate 5 3.6
Years of service Less than 0~2 years 26 19.0
Less than 2~5 years 36 26.3
Less than 5~10 years 40 29.2
Less than 10~20 years 16 11.7
More than 20 years 19 13.9
Working years in positions Less than a year 61 44.5
1~2 years or less 29 21.2
2 to less than 5 years 25 18.2
More than five years 22 16.1
Position Grade 5 or higher 5 3.6
Grade 6~7 56 40.9
Grade 8~9 75 54.7
Total 137 100.0

성별의 경우 남자 88명(64.2%)으로 여자 49명(35.8%)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30대가 59명(43.1%)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20대가 31명(22.6%), 40대가 27명(19.7%), 50대가 20명(14.6%)로 나타났다. 학력의 경우, 대학 졸업 응답자가 100명(73%)으로 가장 많은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고졸 이하가 17명(12.4%), 전문대 졸업 응답자가 15명(10.9%)과 대학원 졸이 5명(3.6%)의 순으로 대학 졸업자가 절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응답자들의 총 재직근무연수는 5~10년 미만인 응답자가 40명(29.2%)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 2~5년 미만은 36명(26.3%), 0~2년 미만이 26명(19%), 그리고 20년 이상이 19명(13.9%)과 10~20년 미만이 16명(11.7%)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 재난관련 보직근무연수에 대해 살펴본 결과, 1년 미만인 응답자가 61명(44.5%)으로 가장 많았고, 1~2년 미만이 29명(21.2%), 2~5년 미만은 25명(18.2%), 5년 이상은 22명(16.1%)의 순으로 나타났다. 직급에 따른 분류에서는 8~9급 공무원이 75명(54.7%)으로 가장 많이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6~7급 공무원이 56명(40.9%), 5급 이상이 5명(3.6%)의 순으로 나타났다.

3.2 개인적 특성인자에 따른 인식차이

본 논문에서는 응답자의 개인적 특성인자에 따른 재난안전관리업무에 대한 개인역량, 부서역량, 조직환경 및 재난교육에 대한 인식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통해 평균값 비교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성별, 연령, 학력, 재직근무연수, 직급에 따라 개인역량, 부서역량, 조직환경 및 재난교육에 대한 인식차이여부를 알아보았다.

3.2.1 성별에 따른 인식차이

성별에 따른 개인역량, 부서역량, 조직환경 및 재난교육의 인식차이를 알아보고자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Table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인역량, 조직환경에 있어서 남자가 여자보다 더 긍정적인 인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난교육에 대해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더 긍정적인 인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서역량에 대해서는 남자와 여자가 동일하게 긍정적인 인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분산의 동질성 검정에서 p값이 개인역량은 .706, 부서역량은 .912, 조직환경은 .557, 재난교육에 대한 p값은 .257로서 0.05보다 크기(p > 0.05) 때문에 분산의 동질성이 충족되었다.

Table 2.

Differences in perceptions according to gender

Classification Frequency (N) Mean (M) Degree of freedom Value of t Significance probability
Personal
competency
Man 88 3.51 135 2.580 .706
Woman 49 3.22
Department
competency
Man 88 3.57 135 -.027 .912
Woman 49 3.57
Organizational
environment
Man 88 3.33 135 1.440 .557
Woman 49 3.14
Disaster
education
Man 88 3.41 135 -.322 .257
Woman 49 3.45

3.2.2 개인역량에 대한 인식차이

응답자의 개인적 특성인자에 따른 개인역량에 대한 분석결과 Table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한 설문조사에서 전체 평균값이 3.41로 나타나 응답자들이 대체로 개인역량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응답자의 개인특성 들별로 살펴보았을 때 연령, 재직근무연수, 직급에 따른 개인역량에 대한 응답자들의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학력에 따른 개인역량에 대한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3.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individual competencies

Classification Frequency (N) Mean (M) F Significance probability
Age Twenties 31 3.26 3.551 .016
Thirties 59 3.34
Forties 27 3.44
Fifties 20 3.80
Academic
background
High school graduates and below 17 3.29 .526 .665
Graduated from a community college 15 3.53
College graduation 100 3.40
Graduate school graduate 5 3.60
Years of
service
Less than 0~2 years 26 3.15 4.498 .002
Less than 2~5 years 36 3.25
Less than 5~10 years 40 3.45
Less than 10~20 years 16 3.56
For more than 20 years 19 3.84
Position Grade 5 or higher 6 4.17 11.605 .000
Grade 6~7 56 3.59
Grade 8~9 75 3.21
Total 137 3.41

3.2.3 부서역량에 대한 인식차이

응답자의 개인적 특성인자에 따른 부서역량에 대한 분석 결과 Table 4에 제시된 바와 같이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한 설문조사에서 전체 평균값이 3.57로 나타나 응답자들이 대체로 부서역량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개인특성변수들에 따른 부서역량에 대한 응답자들의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인특성변수의 구분에 상관없이 부서역량에 대해 전체적으로 높은 수준의 긍정적 인식을 가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able 4.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departmental competencies

Classification Frequency (N) Mean (M) F Significance probability
Age Twenties 31 3.58 2.009 .116
Thirties 59 3.49
Forties 27 3.48
Fifties 20 3.90
Academic
background
High school graduates and below 17 3.47 .219 .883
Graduated from a community college 15 3.67
A college graduation 100 3.57
A graduate school graduate 5 3.60
Years of
service
Less than 0~2 years 26 3.50 1.577 .184
Less than 2~5 years 36 3.56
Less than 5~10 years 40 3.43
Less than 10~20 years 16 3.75
For more than 20 years 19 3.84
Position Grade 5 or higher 6 3.83 .725 .486
Grade 6~7 56 3.61
Grade 8~9 75 3.52
Total 137 3.57

3.2.4 조직환경에 대한 인식차이

응답자의 개인적 특성인자에 따른 조직환경에 대한 분석 결과 Table 5에 제시된 바와 같이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한 설문조사에서 전체 평균값이 3.26으로 나타나 응답자들이 대체로 조직환경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5.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environment

Classification Frequency (N) Mean (M) F Significance probability
Age Twenties 31 3.42 1.235 .300
Thirties 59 3.20
Forties 27 3.11
Fifties 20 3.40
Academic
background
High school graduates and below 17 3.29 .393 .758
Graduated from a community college 15 3.27
A college graduation 100 3.24
A graduate school graduate 5 3.60
Years of
service
Less than 0~2 years 26 3.46 1.362 .251
Less than 2~5 years 36 3.28
Less than 5~10 years 40 3.10
Less than 10~20 years 16 3.13
For more than 20 years 19 3.42
Position Grade 5 or higher 6 3.33 .215 .807
Grade 6~7 56 3.21
Grade 8~9 75 3.29
Total 137 3.26

응답자의 개인특성변수들에 따른 조직환경에 대한 응답자들의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인특성변수의 구분에 상관없이 조직환경에 대해 전체적으로 높은 수준의 긍정적 인식을 가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3.2.5 재난교육에 대한 인식차이

응답자의 개인적 특성인자에 따른 재난교육에 대한 분석 결과 Table 6에 제시된 바와 같이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한 설문조사에서 전체 평균값이 3.42로 나타나 응답자들이 대체로 재난교육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개인특성변수들에 따른 재난교육에 대한 응답자들의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인특성변수의 구분에 상관없이 재난교육에 대해 전체적으로 높은 수준의 긍정적 인식을 가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able 6.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disaster education

Classification Frequency (N) Mean (M) F Significance probability
Age Twenties 31 3.52 1.397 .247
Thirties 59 3.41
Forties 27 3.22
Fifties 20 3.60
Academic
background
High school graduates and below 17 3.41 .269 .848
Graduated from a community college 15 3.53
A college graduation 100 3.40
A graduate school graduate 5 3.60
Years of
service
Less than 0~2 years 26 3.42 1.183 .321
Less than 2~5 years 36 3.44
Less than 5~10 years 40 3.43
Less than 10~20 years 16 3.13
For more than 20 years 19 3.63
Position Grade 5 or higher 6 3.83 1.331 .268
Grade 6~7 56 3.36
Grade 8~9 75 3.44
Total 137 3.42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전라남도 22개 시군의 재난관련 부서에 근무하는 공무원들의 재난안전관리업무에 대한 개인역량, 부서역량, 조직환경 및 재난교육에 대한 인식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실증적 분석을 한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개인역량, 조직환경에 대해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더 긍정적인 인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난교육에 대해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더 긍정적인 인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부서역량에 대해서는 남자와 여자의 긍정적인 인식이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특성인자에 따른 개인역량에 대해서는 응답자들이 대체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개인특성 들별로 살펴보았을 때 연령, 재직근무연수, 직급에 따른 개인역량에 대한 응답자들의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학력에 따른 개인역량에 대한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적 특성인자에 따른 부서역량에 대해서는 응답자들이 대체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개인특성변수들에 따른 부서역량에 대한 응답자들의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개인적 특성인자에 따른 조직환경에 대해서는 응답자들이 대체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개인특성변수들에 따른 조직환경에 대한 응답자들의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응답자의 개인적 특성인자에 따른 재난교육에 대해서는 응답자들이 대체로 재난교육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개인특성변수들인 연령, 학력, 재직근무연수, 직급에 따른 재난교육에 대한 응답자들의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Cheongam college research grants in 2023.

References

1
Choi, Ho-jin and Kyungwoo Kim. (2021). Study on Improving the Competency of Emergency Management Personnel in Local Government.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Basic Research Project. 2021: 2-6.
2
Jang, See-Sung. (2008). A Study on the Construction Direction of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Korea -The Cognition of Disaster Management Public Servant-. Ph.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Myongji University.
3
Kim, Hyo-chang. (2018). Independent Learning of Statistical Analysis. Seoul: Human Books.
4
Kim, Roi Ho. (2015). A Study on the Enhancement of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Competency for Public Employees in Local Government.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of Konkuk University.
5
Lee, Hun-Gu. (2020). A Study on the Effects of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Safety Awareness on Management Competency - Focused on General Public Officials in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al Policy and Administration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6
Lee, Sang Yeol and Jae Sung Nam. (2019). Study on Recognition Attitudes of Residents on Safety Management against Disasters of Local Governments: Focused on Chungcheongbuk-do. Korean Security Journal. 58: 81-106. 10.36623/kssa.2019.58.4
7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2023). 2023 Disaster Management Assessment Guidelines: Central, Public, and Local Governments. A Separate Edition. Sejong: MOIS.
8
Shin, So Young. (2016). Status Analysis on Disaster Management System for Police-Fire Authorities and Establishment of Efficiency Plan. Ph.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Kyunggi University.
9
Yoo, Eun Ji and Young Ho Eom. (2017). What is to Determine the Local Governments Disaster Management?,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20(4): 89-113. 10.20484/klog.20.4.5

Korean References Translated from the English

1
김뢰호 (2015).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재난안전관리 역량강화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
김효창 (2018). 혼자하는 통계분석. 서울: 휴먼북스.
3
신소영 (2016). 경찰 ‧ 소방의 재난관리체계 실태분석 및 효율화 방안 모색.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4
유은지, 엄영호 (2017). 지방정부간 재난관리의 차이는 왜 발생하는가?: 지방정부 재난관리기금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20(4): 89-113. 10.20484/klog.20.4.5
5
이상열, 남재성 (2019). 지방자치단체의 재난안전 관리에 대한 주민 인식태도 연구-충청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시큐리티 연구. 58: 81-106. 10.36623/kssa.2019.58.4
6
이헌구 (2020). 재난ㆍ안전관리체계와 안전관리인식이 관리역량에 미치는 영향: 서울특별시교육청 일반직공무원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7
장시성 (2008). 한국의 재난관리체제 구축방향에 관한 연구: 재난관리 담당공무원 인식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8
최호진, 김경우 (2021). 재난안전관리 역량 제고방안 연구: 지방자치단체의 인력 전문성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기본연구과제. 2021: 2-6.
9
행정안전부 (2023). 2023년도 재난관리평가 지침: 중앙 ‧ 공공 ‧ 지방자치단체. 별쇄본. 세종: 행정안전부.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