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19 Vol.12, Issue 3 Preview Page

Original Article

30 September 2019. pp. 59-67
Abstract
References
1
Ahn, C. S., Yoon, S.W., and Chin, S.Y. (2012). Diligence and Indolence Management System for Specialty Contractor on Construction Site Using GPS of Smart Phone.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3(3): 56-66.
10.6106/KJCEM.2012.13.3.056
2
Carter, G. and Smith, S. (2006). Safety Hazard Identification on Construction Project.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32(2): 197-205.
10.1061/(ASCE)0733-9364(2006)132:2(197)
3
Han, S. T. (2017).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afety Manegement by the Cause of Accident in Construction Site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4
Hong, J. S., Bae, D. K., and Kim, J. J. (2005). A Safety Management Activity Improvement in Construction Sites through Analysis of Success Factors.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6(5): 148-156.
5
Jang, Y. R. and Go, S. S. (2018). A Risk Assessment Counterplan for Reducing the Accident Rates in Medium and Small sized Construction Sites.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9(5): 90-100.
6
Kim, D. W. (2011).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a Large Construction Project Using Real-time Location System. Ph. D.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Korea.
7
Kim, Y. S. (2014).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onstruction Scaffolds Considering Structual Stability and Size of Workers.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Korea.
8
Ko, D. W. and Jang, M. H. (2014). Development of Adjustable Safety Foothold for Scaffoldings.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6(5): 191-198.
9
Lee, H. S., Lee, K. P., Park, M. S., Kim, H. S., and Lee, S. B. (2009). A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nd Real-time Loading System.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0(6): 135-145.
10
Lee, Y. S., Lee, D. G. Yu, Y. G., and Lee, H. J. (2016). Application of Drone in Forest Damage Area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24(3): 49-58.
10.7319/kogsis.2016.24.3.049
11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8). Analysis of the Status of Industrial Accidents. Korea
12
Moon, S. W., Choi, E. G., and Hyun, J. H. (2011). Safety Management of the Retaining Wall Using USN Sonar Sensors.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2(6): 22-30.
10.6106/KJCEM.2011.12.6.22
13
Paik, S. M. (2014).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Master's thesis. Gacheon University. Korea
14
Samir E. and Osama M. (2008). Intergrating 3D Laser Scanning and Photogrammetry for Progress Measurement of Construction Work. Automation in Construction. 18: 1-9.
10.1016/j.autcon.2008.05.006
15
Shin, H. S., Um, J. S., and Kim, J. H. (2017). A Study on Damage Scale Tacking Technique for Debris Flow Occurrence Section Using Drone Im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5(6): 517-526.
1
고동우, 장명훈 (2014). 안전사고 감소를 위한 비계용 길이조절 안전발판 개발.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6(5): 191-198.
2
고용노동부 (2018). 산업재해 분석.
3
김대원 (2011). 실시간 위치인식기술을 적용한 대형건설현장 안전관리시스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김유식 (2014). 근로자 신체치수를 고려하고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한 비계 기준 개선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문성우, 최은기, 현지훈 (2011). USN 초음파 센서를 활용한 흙막이 안전관리.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12(6): 22-30.
10.6106/KJCEM.2011.12.6.22
6
백만승 (2014). 사물인터넷 적용을 통한 건설 안전관리 시스템 개선방안. 가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신현선, 엄정섭, 김준현 (2017). 드론영상을 활용한 토석류 발생구간의 피해규모 추적기법. 한국측량학회지논문집. 35(6): 517-526.
8
장윤라, 고성석 (2018).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재해율 감소를 위한 위험성평가 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19(5): 90-100.
9
안치선, 윤수원, 진상윤 (2012). 스마트 폰의 위성항법시스템(GPS)를 활용한 전문건설업체 현장 근태관리 체계 구축.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13(3): 56-66.
10.6106/KJCEM.2012.13.3.056
10
이영승, 이동국, 유영걸, 이현직 (2016). 드론 사진측량을 이용한 산림훼손지역의 훼손 현황 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24(3): 49-58.
10.7319/kogsis.2016.24.3.049
11
이현수, 이광표, 박문서, 김현수, 이사범 (2009). 위치추적기술을 이용한 BIM기반 건설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10(6): 49-58.
12
한상태 (2017). 건설현장 사고 원인별 안전관리 개선방향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홍정석, 배대권, 김재준 (2005). 건설현장 안전관리 성공요인 분석을 통한 안전관리활동 개선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6(27): 148-156.

Korean References Translated from the English

1
고동우, 장명훈 (2014). 안전사고 감소를 위한 비계용 길이조절 안전발판 개발.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6(5): 191-198.
2
고용노동부 (2018). 산업재해 분석.
3
김대원 (2011). 실시간 위치인식기술을 적용한 대형건설현장 안전관리시스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김유식 (2014). 근로자 신체치수를 고려하고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한 비계 기준 개선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문성우, 최은기, 현지훈 (2011). USN 초음파 센서를 활용한 흙막이 안전관리.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12(6): 22-30.
10.6106/KJCEM.2011.12.6.22
6
백만승 (2014). 사물인터넷 적용을 통한 건설 안전관리 시스템 개선방안. 가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신현선, 엄정섭, 김준현 (2017). 드론영상을 활용한 토석류 발생구간의 피해규모 추적기법. 한국측량학회지논문집. 35(6): 517-526.
8
장윤라, 고성석 (2018).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재해율 감소를 위한 위험성평가 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19(5): 90-100.
9
안치선, 윤수원, 진상윤 (2012). 스마트 폰의 위성항법시스템(GPS)를 활용한 전문건설업체 현장 근태관리 체계 구축.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13(3): 56-66.
10.6106/KJCEM.2012.13.3.056
10
이영승, 이동국, 유영걸, 이현직 (2016). 드론 사진측량을 이용한 산림훼손지역의 훼손 현황 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24(3): 49-58.
10.7319/kogsis.2016.24.3.049
11
이현수, 이광표, 박문서, 김현수, 이사범 (2009). 위치추적기술을 이용한 BIM기반 건설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10(6): 49-58.
12
한상태 (2017). 건설현장 사고 원인별 안전관리 개선방향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홍정석, 배대권, 김재준 (2005). 건설현장 안전관리 성공요인 분석을 통한 안전관리활동 개선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6(27): 148-156.
Information
  • Publisher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Publisher(Ko) :한국방재안전학회
  • Journal Titl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Journal Title(Ko)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 Volume : 12
  • No :3
  • Pages :59-67
  • Received Date : 2019-08-09
  • Revised Date : 2019-08-27
  • Accepted Date : 2019-09-04